HD현대가 미국 최대 방산 조선사인 헌팅턴 잉걸스(Huntington Ingalls Industries)와 조선 사업 협력에 나서며 미국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HD현대는 현지시간으로 지난 7일(월) 헌팅턴 잉걸스와 ‘선박 생산성 향상 및 첨단 조선 기술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은 미국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해양항공우주 전시회(Sea Air Space 2025, SAS 2025)’ 내 헌팅턴 잉걸스 전시관에서 진행됐으며, HD현대중공업 주원호 특수선사업대표와 잉걸스 조선소 브라이언 블란쳇(Brian Blanchette) 사장 등이 참석했다. 헌팅턴 잉걸스는 미국 중남부 미시시피주에 미국 최대 수상함 건조 조선소인 잉걸스 조선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미 해군이 최근 발주한 이지스 구축함 물량의 3분의 2를 비롯해 대형 상륙함과 대형 경비함 전량을 건조하고 있다. 이날 MOU에 따라 양사는 각 사가 보유한 함정 건조 분야 전문성과 역량을 결합해 선박 건조의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한편, 건조 비용과 납기를 개선하기 위한 노하우와 역량을 공유하기로 했다. 또한 디지털 조선소 구축을 위한 공정 자동화
해양수산부가 평택과 중국 산동성 영성을 연결하는 카페리선사 영성대룡해운에 대해 '영업정지'를 내린 것으로 알려지면서 해운업계가 '술렁'. 이는 영성대룡해운이 그간 운항해온 '오리엔탈펄8호'를 선주인 단동항운에 반선하는 데 따른 것이긴 하지만, 산동성 항만당국이 '영업중단'한 것을 굳이 해수부가 나서 국적선사에 중징계인 '영업정지'를 때린 것이 적절하냐는 것. 업계 관계자는 "해수부는 규정대로 했다고 하지만 중국 항만당국도 'OK'한 사안을 우리 정부가 나서 굳이 선사의 존립이 어렵도록 중징계할 필요가 있었는지 의문"이라고 이의를 제기. 특히 영성대룡해운은 그간 산동성항만그룹의 집요한 헐값 인수합병에 저항해왔는데 오히려 이번에 우리 정부에 '뒤통수'를 맞은 꼴이 돼 타격이 더 큰 것으로 관측. 또다른 관계자는 "해수부가 이렇게 나선 데에는 영성대룡해운의 화물을 노린 경쟁업체의 문제제기가 있었을 것으로 본다"며 "해수부만 원망할 것이 아니라 한중카페리업계에도 책임이 있다"고 언급. 한편 영성대룡해운은 반선에 따른 공백을 메우기 위해 올해 초 중국 조선소와 Ro-Ro 카페리선 신조계약을 체결했으나 금융권이 RG 발급을 거부, 이래저래 난관에 봉착.
HD현대미포가 건조 중인 암모니아 이중연료추진 중형 가스운반선(MGC)이 영국 로이드선급(LR)의 승인을 받았다. 로이드선급은 대형 화주인 트라피구라(Trafigura)가 발주한 이들 선박의 암모니아 이중추진시스템에 대한 설계 및 안정평가를 통해 승인 스탬프를 발급했다. 로이드선급은 "가스운반선에 암모니아 이중연료추진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은 특수선박을 넘어 더 다양한 선박 유형으로 저탄소 연료의 사용을 확대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단계"라고 밝혔다. 4만 5000cbm급 규모의 이들 MGC 4척은 LPG와 암모니아를 운송토록 설계됐으며, 울산의 HD미포조선에서 건조돼 2028년 인도될 예정이다. 구동장치는 WinGD의 암모니아 이중연료추진엔진과 알파라발의 암모니아방출완화시스템으로 구성됐다. 트라피구라의 글로벌 해운부문 책임자인 안드레아 올리비(Andrea Olivi)는 "EU의 환경 규정이 이같은 선박 발주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며 "해운의 탈탄소화를 실현하고 탄소 '0' 연료에 대한 수요를 늘리려면 IMO가 EU ETS 및 EU Fuel Maritime을 포함한 환경 규정들이 전 세계에서 시행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3일 발표한 관세 인상이 처음에는 해운업계에 타격이 되지만 나중에는 이득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그리스 선주들은 미국의 관세 인상으로 결국 해운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컨테이너선사인 다나오스(Danaos Corp)의 오너 존 쿠스타스(John Coustas)은 "올해 해운업 경기는 침체할 것"이라면서 "이는 수년간의 자유무역정책을 통해 최적화된 공급망을 단기간에 재조정하기가 아주 어렵고, 상당한 비용이 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 비용을 미국이 대부분 부담할 것"으로 예상했다. 쿠스타스는 "미국의 생산능력은 수입을 대체할 수 있는 역량이 제한적이어서 미국 내 물품가격이 오르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것"이라면서 "트럼프행정부가 새 무역조건을 협상하고 일부 관세를 인하할 때까지 약 6개월의 시차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무역이 새로운 균형을 찾으면 해운업은 상승세를 누릴 수 있다"고 밝혔다. 90척이 넘는 선대를 보유한 스텔스가스 등의 선주인 해리 바피아스(Harry Vafias)도 "미국의 관세는 처음에는 부정적이지만 그 이후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글로벌 무역은 결국
컨테이너 스팟 운임이 이번주 일부 상승세를 기록하는 등 그간 지속하던 하락세가 '주춤'했다. 지수별로는 온도차가 컸다. 드류리의 세계컨테이너지수(WCI)는 거의 모든 노선에서 하락세를 이어간 반면,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상승세로 반전했다. WCI의 상하이-로테르담 구간은 전주 대비 4% 하락해 FEU당 2,370달러를 기록했고, SCFI의 상하이-북유럽 구간은 전주 대비 1% 상승한 FEU당 2,636달러를 나타냈다. 이는 다음 주에 선사들이 도입할 예정인 일반운임인상(GRI)이 부분적으로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업계 관계자는 "하팍로이드의 경우 4월 1일부터 극동아시아에서 북유럽까지 FEU당 4,000달러의 새 FAK 운임을 도입하려고 한다"며 "이것이 성공할 수는 있지만 얼마나 지속될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또 이번 주 WCI의 상하이-제노아 구간은 전주 대비 3% 하락한 FEU당 3,171달러에 마감됐고, SCFI의 상하이-지중해 노선은 5% 하락했다. 태평양 횡단항로에서 WCI와 SCFI 간의 차이는 더 컸다. WCI의 상하이-LA 구간은 전주 대비 6% 하락한 FEU당 2,487달러에 마감됐고, SCFI의 상하이-미 서안 노
선박중개업체 BRS는 올해 신조선 가격이 정체되고 조선소들은 발주 둔화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측했다. BRS는 이같이 밝히면서 작년 신조발주량 1억 9,300만 톤에서 올해는 1억 톤 가까이 급감한 1억 톤의 선박이 발주될 것으로 전망했다. BRS는 "화물시장에 대한 새로운 압력이 투자결정을 지연시킬 것"이라며 "조선소 용량 확장은 신조선가 하락을 유도해 올해 신조선가는 10% 이상 하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BRS는 지난해 조선소 사정을 △가용슬롯의 평균 인도기간 4년 이상 △주엔진 납품 지연 △중국 조선소의 대거 확장 등으로 특징지었다. BRS는 신규 오픈 또는 재개장한 중국 조선소로 Hubei Jinyu New Energy Shipbuilding, Three Waters New Energy Technology, Yangzhou Guoyu Shipbuilding, Jiangsu New Rongsheng Heavy Industry, Nantong Xiangyu, Jiangsu Soho Innovation & Technology Group, Wuhu Shipyard, Shandong Xinfa Group을 꼽았다. 또 기존 조선소들 중 시설을 확장
HD한국조선해양이 앙골라 소난골쉬핑(Sonangol Shipping)으로부터 15만 8,000dwt급 수에즈막스 원유운반선 2척을 수주했다. 인도일은 2027년 5월까지다. 신조 가격은 총 2,576억 원(1억 7,600만 달러)이며, 척당 신조가는 8,800만 달러다. 이들 선박은 기존 전통연료로 구동되며, 목포의 HD현대삼호에서 건조될 예정이다. 한편 글로벌 무역전쟁과 지정학적 갈등 등으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폭되면서 올들어 신조선 시장은 눈에 띄게 침체되고 있다. 클락슨의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수에즈맥스급 탱커의 신조 가격은 작년에 9,000만 달러였지만 현재는 8,750만 달러에 시세가 형성되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이 이번에 앙골라로부터 수주한 금액은 시세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미 트럼프행정부의 기후회담 탈퇴가 국제해사기구(IMO)를 흔드는 상황에서 MSC, CMA CGM 등 메이저선사들도 LNG연료에 대한 처벌이 선사들의 선박연료선택을 왜곡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나섰다. 이는 오는 11일 종료 예정인 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에서 회원사들이 탄소부과금에 대해 합의하는 데 파장을 미칠 전망이다. 반대에는 10개 선사가 참여했다. 구체적으로 안젤리쿠시스그룹(Angelicoussis Group), 브리타니 페리(Brittany Ferries), 캐피탈그룹(Capital Group), 카니발(Carnival), CMA CGM, 가스로그(Gaslog), GNV, MSC, PIL, 포낭(Ponant)이다. 이들은 9일 성명을 내고 IMO에서 글로벌 연료기준(GFS)을 조정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이들 선사는 "한 경로가 다른 경로보다 본질적으로 확장성이나 지속가능성이 더 높다는 생각을 뒷받침할 만한 합리적인 근거가 없다"면서 "이같은 맥락에서 LNG와 바이오/e-메탄을 통한 여정은 전환의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한 "현재 1,000척 이상의 LNG추진선이 운영 중이거나 발주됐으며 상당한 인프라 투자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최소 10% 이상의 상호 관세를 매기겠다는 계획을 2일(현지 시간) 공개했다. 한국에는 총 25% 상호관세가 책정됐다. 일본은 24%, 중국은 34%가 부과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줄곧 비판해왔던 유럽연합(EU)은 20%, 대만은 32%, 인도는 26%를 받았다. 또 태국에는 36%, 스위스 31%,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캄보디아 49%, 영국 10%, 남아프리카공화국 30% 등이 적용된다. 5일부터 전 세계에 10% 기본 관세가 부과되고, 9일부터는 60개국을 상대로 개별 관세가 추가로 발효된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정원 ‘로즈가든’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오늘은 미국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고 했다. 그는 “오늘은 미국 제조업이 다시 태어나는 날이다.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만들겠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같이 말하자 이날 발표에 참석한 철강, 자동차, 석유 분야 등의 ‘블루칼라’ 생산직 기술노동자들은 환호했다. 이어 “미국의 경제적 독립을 선언하겠다”며 “오늘 미국의 황금시대가 열린다”고 했다. 그는 “미국은 더이상 다른 국가의 적자와 국방비를 내
최원혁<사진> HMM 대표내정자가 26일 여의도 파크원 본사에서 개최된 제49기 정기주주총회와 이사회에서 대표이사로 정식 선임했다. 최원혁 신임 대표이사는 CJ대한통운, LX판토스 등 글로벌 물류업계에서 40년 이상 근무한 물류전문가다. 특히, LX판토스에서 8년동안 CEO를 성공적으로 역임하면서 글로벌 물류에 대한 전문성과 경영역량, 조직관리능력 등을 인정받았다.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최원혁 사장을 비롯해 이정엽 컨테이너사업부문 전무를 사내이사로 신규 선임하고, 서근우 사외이사를 재선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