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에너지메이저 엑슨모빌(ExxonMobil)이 LNG벙커링 시장에 진출한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엑슨모빌은 그리스 선주 에발렌드 쉬핑(Evalend Shipping)이 HD현대미포에 발주한 1만 8,000㎥급 LNGBV 4척 중 1척과, 노르웨이 스톨트닐슨 계열 Avenir LNG의 신조선 1척을 각각 장기 용선했다. 에발렌드쉬핑 선박의 경우 5년 기간·하루 4만 달러 수준에서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가격은 LNGBV 시장 평균치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엑슨모빌이 LNG벙커링에 적극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에발렌드쉬핑은 지난 1월 HD현대미포에 총 3억 7,000만 달러 규모 LNGBV 4척을 발주하며 시장에 뛰어든 신규 강자다. 이에 비해 Avenir LNG는 이미 5척 운영 경험을 갖고 있는데다 지난해 중국 난퉁CIMC에 2만㎥급 2척을 추가 발주했다. 엑슨모빌은 당초 올해 초 중국 조선소 슬롯을 확보해 자체 LNGBV 발주를 검토했으나,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중국산 선박에 항만 이용료 부과를 예고하면서 계획을 접은 것으로 알려졌다. LNG벙커링 시장에선 쉘(Shell)과 토탈(TotalEnergies)가 앞서 달리고 있다. 두
시리아가 내전 이후 처음으로 1일 타르투스항을 통해 원유 수출을 재개했다. 시리아 에너지부에 따르면 그리스 키클라데스 마리타임(Kyklades Maritime) 소속의 LR2 유조선 'Nissos Christiana호'(2015년 건조)는 60만 배럴의 중유를 적재했으며, 이를 글로벌 석유거래업체 BB Energy가 구매했다. 시리아 국방부는 이번 수출을 석유 산업 회복과 국제 협력 확대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했다. 이번에 수출된 원유는 대부분 쿠르드족이 통제하는 시리아 북동부 로자바 지역에서 생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민주연합당(PYD)은 올해 초 정부와의 화해를 계기로 석유 수출을 허용했으나, 최근 긴장 고조로 공급이 중단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시리아는 내전 전인 2010년 하루평균 38만 배럴의 석유를 수출했다. 당시 쉘과 토탈 등 주요 외국 기업들이 정부와 협력해 유전을 운영했으나 2011년 EU 제재 이후 생산이 중단됐다. 이번 수출은 DP World가 시리아 정부와 체결한 8억 달러 규모의 항구 개발 및 운영 계약의 일환으로, 러시아 운영사 OAO Stroytransgaz를 대체해 타르투스항의 기능을 복원하면서 가능해졌다. 러
한중카페리 선사인 한중훼리 사장에 노진학씨가 공식 취임했다. 한중훼리는 지난 21일 열린 한중훼리 임시 주주총회에서 노진학씨가 제4대 대표이사로 선임됐다고 밝혔다. 이날 임시 주총에는 박원경 사장, 곽인섭 사장, 지희진 사장 등 한중훼리 1~3대 전임 대표이사들이 참석해 노진학 사장의 대표이사 선임을 축하했다. 노 신임 사장은 22일 서울 본사에서 취임식을 갖고 "한중훼리가 더욱 성장, 발전할 수 있도록 영업적인 부분에서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어 "선박의 안전운항에 집중해 회사가 단단하고 더 많은 이윤을 내 임직원과 주주들에게 환원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노사장은 또 “지금까지 한중훼리의 전통을 이어온 임직원들의 노력을 존중한다"며 "임직원들과 격의없이 대화하고 언제든지 소통할 수 있는 사내 문화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노 사장은 해양수산부 간부 출신이다. 1966년생으로 상주고와 경북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1999년 행정고시 42회로 공직에 입문, 해양수산부에서 연안계획과장, 해양공간정책과장, 감사담당관, 운영지원과장을 거쳐 2022년 국장으로 승진해 감사관을 역임했다. 올해 2월 공직에서 물러나 한중훼리 사장
지난 6월 이후 세계 조선국가인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 올해 선두권 핵심 업체들의 합병 및 통합 소식이 잇따르고 있다. 6월에는 일본 이마바리조선소의 JMU 합병, 7월에는 중국 CSSC와 CSIC 합병, 8월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의 합병이 각각 전해졌다. 글로벌 조선업계의 패권 경쟁이 그만큼 치열하며, 조선업이 이미 국가전력산업의 큰 축이 됐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중·일 조선업계의 대규모 합병 일본: Imabari–JMU 통합 및 국립 조선소 추진 Imabari조선이 Japan Marine United(JMU) 지분을 30%에서 60%로 확대해 자회사로 편입. 두 회사는 이미 2021년 합작사 ‘Nihon Shipyard(NSY)’를 설립해 기술력과 인력을 통합. 일본 정부는 ‘국립 조선소’ 설립을 검토 중이며, 약 1조엔 규모의 투자 기금 조성 계획. ‘선체’를 경제안보상 중요물자로 지정해 재정 지원 근거 마련. 중국: CSSC–CSIC 합병으로 세계 최대 조선사 탄생 CSSC와 CSIC의 합병이 최종 승인되며, 530척 이상 수주잔량, 5400만 DWT, 연매출 180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조선사 출범.
HD현대의 조선 부문 중간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이 두산에너빌리티의 베트남 법인 ‘두산에너빌리티베트남(이하 두산비나)’을 인수한다. HD한국조선해양은 20일(수) 두산에너빌리티와 두산비나 주식 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HD한국조선해양이 두산에너빌리티가 보유하고 있는 두산비나 주식 전량을 인수하는 형태다. 총 거래금액은 약 2,900억 원 규모다. 두산비나는 베트남 중부 다낭에서 남쪽으로 12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지난 2006년 설립돼 화력발전 보일러, 항만 크레인, LNG 플랜트 모듈을 생산해왔다. HD한국조선해양은 기존 두산비나에서 영위하던 사업을 지속 유지하는 한편, 이곳을 독립형 탱크 제작 기지 및 아시아 지역 내 항만 크레인 사업을 위한 거점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독립형 탱크는 LNG추진선, LPG운반선, 암모니아운반선, 액화이산화탄소운반선 등 친환경 선박의 핵심 기자재로서 최근 IMO 환경 규제 강화 등에 따라 그 수요가 지속 증가하는 추세다. HD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이번 딜은 양사의 이해관계가 충족한 가운데 정부의 협조와 지원이 뒷받침돼 이뤄질 수 있었다”며, “친환경 기자재 생산 능력이 확충된 만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해운 억만장자 이단 오퍼(Idan Ofer)의 이스턴퍼시픽쉬핑(Eastern Pacific Shipping, EPS)이 7, 8월 두 달 간 최대 38척의 컨테이너선을 발주했다. 이에 따라 EPS의 오더북은 총 120억 달러에 달하게 됐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EPS는 최근 중국 헝리조선소와 CMI양저우에서 6,000TEU급 최대 14척(약 11억 달러)*을 발주했다. 헝리조선소 '4+4척', CMI양저우 '4+2척'이다. 선가는 척당 약 7,900만 달러로 알려졌다. 2027~2029년 인도 예정이다. EPS는 앞서 이달 초 중국 푸젠 마웨이조선소에 1,800TEU급 18척 ('12+6'척)을, 지난 7월에는 진링난징조선소에 6척을 발주했다. 불과 두 달 만에 피더 및 중형 컨테이너선을 최대 38척 계약한 셈이다. EPS는 이미 1만 8000TEU급 12척, 8,000TEU급 4척을 중국 뉴타임스조선소에서 건조 중이다. 현재 EPS는 컨테이너선 54척을 운영 중이며, 신조 인도분을 감안할 경우 2029년에는 110척 규모로 선대가 두 배 확대된다. EPS의 이같은 대량 발주는 단순한 선복 확대를 넘어 노후 피더선 대체 수요와 아시아 무역 성장세를 겨냥한 전략
케이조선이 그리스 배너지 마리타임(Venergy Maritime)으로부터 MR 탱커 2척을 추가로 수주했다. 이번 수주분은 지난 7월 계약한 '2+2척'의 옵션 물량이다. 5만 dwt급인 이들 선박의 척당 신조선가는 4800만 달러이며, 2027년 1분기에서 2분기 사이에 인도될 예정이다. 2021년에 설립된 배저지 마리타임은 그간 활동이 뜸하다 지난 4월 이탈리아의 프레무다(Premuda)로부터 2018년 건조된 MR 2척을 사들이면서 업계의 관심을 받았다. 배너지그룹은 국내 해운업계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수십년 간 선박 및 항만 폐기물 관리사업을 운영해왔으며, 폐기물 부문에서는 나름 유명한 업체다.
노르웨이의 노던라이츠(Northern Lights) 탄소 포집·저장(CCS) 프로젝트가 첫 이산화탄소(CO₂) 주입에 성공하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이 프로젝트에는 에퀴노르, 쉘, 토탈에너지 등 3사가 동일 지분으로 참여하고 있다. 유럽 최초의 제3자 CO₂ 운송·저장시설로, 탄소 감축의 상징적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노던라이츠에 따르면 처음 주입된 CO₂는 노르웨이 브레빅에 위치한 하이델베르크 시멘트 공장에서 포집됐으며, 액화된 CO₂는 전용 선박으로 운송돼 서부 노르웨이 연안에서 100km 떨어진 해저 2,600m 아래에 주입됐다. 이번 1단계 사업은 연간 150만 톤 규모의 저장 용량을 갖추고 있으며, 이미 전량이 계약된 상태다. 유럽에서 노르웨이로의 LCO2 배송은 2026년 시작될 예정이다. 노던라이츠는 1단계 운영을 위해 이미 7,500cbm급 'Northern Pioneer호'와 'Northern Pathfinder호'(이상 2024년 건조) 등 2척의 액화이산화탄소운반선을 인도받았으며, 중국 다롄조선중공업으로부터 2척을 추가로 인수받을 예정이다. 에퀴노르는 성명에서 “세계 최초의 제3자 CO₂ 운송·저장 시설이 가동되며 유럽 온실가스 감축
러시아 마리나 스타로보이토바가 여성 원자력쇄빙선 선장에 세계 최초로 임명됐다. 그녀가 지휘하는 쇄빙선은 원자력공기업 로사톰(Rosatom) 산하의 '야말(Yamal)호'다. 스타로보이토바의 원잘겨 야말호 선장 임명은 최근 열린 러시아 원자력산업 80주년 기념행사에서 발표됐다. 스타로보이토바는 20년 이상의 해상 근무경력을 갖고 있으며, 그 중 6년을 원자력추진선에서 근무했다. 국립 S.O. 마카로프제독 해양아카데미에서 해양 엔지니어학위를 받았고, 원자력쇄빙선 '소베츠키 소유즈(Sovetsky Soyuz)호'에서 사관으로서의 역할을 처음 시작했다. 이후 민간기업의 상선에서 근무하며 학업을 이어갔고, 1등항해사 자격증을 취득한 뒤 로사탐 산하의 아톰플롯(Atomflot)으로 돌아왔다. 그녀는 지난해 야말호의 1등 항해사로 근무하다 이번에 선장에 임명됐다.
골든오션(Golden Ocean) 주주들이 19알 버뮤다 해밀턴에서 열린 특별 주주총회에서 CMB.TECH와의 합병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골든오션이란 선사는 사라지고, 대신 CMB.TECH가 250척의 선박을 운영하는 거대 선사로 거듭났다. 양 사간 합병 추진은 지난 5월 28일 처음 발표됐었다. 골든오션의 주식 1주는 CMB.TECH의 보통주 0.95주로 교환되며, 오슬로 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서 골든오션 주식은 19일 마지막으로 거래가 종료됐다. 이 합병은 골든오션의 90척이 넘는 건화물선과 CMB.TECH의 160척이 넘는 원유운반선, 건화물선, 컨테이너선, 화학제품운반선, 해상풍력선 등을 통합하는 것이다. 버뮤다에 본사를 둔 건화물선 전문선사인 골든오션의 선대는 총 1,370만 dwt에 달한다. 벨기에 앤트워프에 본사를 둔 CMB.TECH의 주주들은 합병 선사의 주식 약 70%를, 골든오션 주주는 나머지 30%를 각각 소유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