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예산 부족으로 차질을 빚어온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 총사업비 조정을 거쳐 571억원의 예산이 추가로 배정되면서다. 앞서 진행된 입찰 공고에는 사업성이 없다며 어느 조선소도 참여하지 않았다. 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최근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사업의 총사업비를 2605억원에서 571억원 늘린 3176억원으로 확정했다. 주무부처인 해양수산부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은 20일 열린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사업 심의위원회에서 기재부가 확정한 총사업비 조정 결과를 의결했다. 4월 중 진행될 예정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연구장비 예산심의(NFEC)와 극지연구소의 건조사업위원회가 남았지만, 사업 추진에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예산 문제가 해결돼 사업이 정상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극지연구소 관계자는 “5월 중 입찰 공고를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배수량이 1만6560톤으로 기존 '아라온호'(7507톤)의 두 배에 달하고, 저유황 경유와 액화천연가스를 겸용으로 사용해 친환경 운항도 가능하다. 아라온호가 1m 두께의 얼음을 깰 수 있었던 데 비해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1.5m 두께 얼음도 깰 수 있게 설계됐다. 당초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한국산업은행은 14억달러(약 2조590억원) 규모의 ‘대한민국 선박 혁신 프로그램’을 본격 가동했다고 31일 밝혔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초대형 친환경 벌크선 2척을 도입하는 선박금융이 완료됐다. 이번 1·2호 선박은 부산에 본점을 둔 해운사인 우양상선이 운항할 예정이다. 총 금융지원 금액은 1억2150만달러(약 1790억원)다. 산업은행이 7420만달러(약 1093억원)를, 수출입은행이 4730만달러(약 697억원)를 공동 자금으로 투입했다. 앞서 산은은 해양산업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이 프로그램을 포함해 총 14억달러 규모의 KDB SOS 펀드를 작년 4월 선보였다. 펀드를 통해 산은은 선박 구입을 지원하는 혁신 프로그램 외에도 △중소·중견 해운사를 위한 선박 임대 프로그램(선박운용리스) △친환경선박 개조 프로그램(선박개조지원) △우량 운송계약 선박 우대 프로그램(현금흐름 기반 금융) 등을 운영하고 있다. 우양상선은 해당 선박을 브라질 소재 세계 최대 규모 철광석 회사인 ‘Vale S.A.’와 장기운송계약이 체결된 노선에 투입할 예정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이번 대한민국 선박 혁신 프로그램을 통한 초대형 친환경 벌크선 2척 도입을 시작으로 국내
21세기 들어 글로벌 컨테이너선대의 부침이 아주 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덴마크의 해운정보제공업체 시인텔리전스(Sea-Intelligence)가 21세기 해운업체들을 분석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2000년 기준 '톱50' 컨테이너선사들 중 현재 존속하고 있는 곳은 절반에도 못미치는 24개사에 불과하다. 이들 생존한 24개 선사의 선대는 극적으로 늘어났다. 이들 24개사의 선복은 2000년 250만 TEU에서 올해 2670만 TEU로 25년 동안 983% 급증했다. 이는 매년 10%씩 늘어난 것이다. 반면 톱50에 추가로 진입한 선사들의 선대 규모는 아직 미흡한 수준이다. 시인텔리전스는 이들 26개 신규 진입선사의 선대는 전체의 6%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대조적으로 기존 24개 선사들의 선대는 전체의 84%나 된다. 한편 정기선 시황분석업체인 알파라이너(Alphaliner)에 따르면 글로벌 컨테이너선대는 2001년 500만 TEU에 도달하는 데 약 50년이 걸렸지만, 2,000만 TEU에서 3,000만 TEU로 도약하는 데 필요한 기간은 7년에 불과했다. 알파라이너는 이번 주 글로벌 정기선 총 선복량이 3200만 TEU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3일 발표한 관세 인상이 처음에는 해운업계에 타격이 되지만 나중에는 이득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그리스 선주들은 미국의 관세 인상으로 결국 해운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컨테이너선사인 다나오스(Danaos Corp)의 오너 존 쿠스타스(John Coustas)은 "올해 해운업 경기는 침체할 것"이라면서 "이는 수년간의 자유무역정책을 통해 최적화된 공급망을 단기간에 재조정하기가 아주 어렵고, 상당한 비용이 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 비용을 미국이 대부분 부담할 것"으로 예상했다. 쿠스타스는 "미국의 생산능력은 수입을 대체할 수 있는 역량이 제한적이어서 미국 내 물품가격이 오르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것"이라면서 "트럼프행정부가 새 무역조건을 협상하고 일부 관세를 인하할 때까지 약 6개월의 시차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무역이 새로운 균형을 찾으면 해운업은 상승세를 누릴 수 있다"고 밝혔다. 90척이 넘는 선대를 보유한 스텔스가스 등의 선주인 해리 바피아스(Harry Vafias)도 "미국의 관세는 처음에는 부정적이지만 그 이후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글로벌 무역은 결국
원료 수급난이 부각되며 지난해 인기가 시들했던 메탄올 추진선이 올 3월 다시 각광을 받았다. 노르웨이선급(DNV)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대체연료 신조선은 모두 25척이 발주됐으며, 이 중 메탄올 추진 신조선이 12건으로 가장 많았다. 메탄올 추진선 신조 발주는 선종별로 크루즈선과 자동차운반선(PCTC)가 각각 3척, 해상지원선 1척, 벌크선 1척, 탱커 4척 등이다. 3월에 LNG 추진 컨테이너선은 7척이 발주됐다. 또 암모니아 추진선은 탱커 2척이 발주됐고, LPG 추진선도 4척이 발주됐다. DNV 마리타임의 글로벌 탈탄소화 담당 임원인 제이슨 스테파나토스는 "지난 겨울 신조발주세가 약했던 메탄올이 3월에 선두로 나선 것은 주목할 만하다"며 "다양한 선종에서 메탄올 추진방식이 선택됐다"고 말했다. 이어 "암모니아는 해양연료로서 아직 갈 길이 멀지만, 기반이 마련되고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며 "암모니아 추진 탱커 2척이 발주된 것은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DNV에 따르면 올 1분기 대체연료 신조선 발주는 전년 동기에 비해 13% 감소했다. 1분기에 발주된 대체연료 신조선은 총 71척이며, 전체 신조발주의 17.2%를 차지했다. 선종별로는 9.4%
글로벌 정기선사들이 이달 들어 주요 동서무역로에서 예정돼 있던 운항계획의 약 10%를 취소해 운임하락을 저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드류리(Drewry)에 따르면 3월 말부터 5월 6일까지 5주 동안 예정된 항해 총 713편 중 약 68편이 취소됐다. 취소된 운항계획의 거의 절반이 태평양 항로에서 발생했는데, 이는 미국의 '관세 폭격'에 대응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나머지는 대서양 서향과 아시아-북유럽 및 아시아~지중해 노선에서 발생했다. 올해 1분기 컨테이너 운임은 폭락세를 보였다. 발트국제해사협의회(Bimco)에 따르면 중국에서 수출된 컨테이너화물의 올 1분기 평균 운임은 올들어 28% 떨어져 지난 20년 중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동안 상하이항에서 수출된 컨테이너의 스팟운임은 46% 급락했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은 이 기간에 2009년 말 조사된 이후 최대의 1분기 하락률을 나타냈다.
HD한국조선해양이 MIT와 함께 조선해양분야 미래기술 연구에 나선다. HD한국조선해양은 현지시간 18일(수)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MIT 조선해양 컨소시엄(MIT Maritime Consortium)’의 발족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 컨소시엄은 MIT의 해양공학과와 *슈워츠먼 컴퓨팅 대학(MIT Schwarzman College of Computing)이 주관하며, 조선해양분야 기술혁신과 탈탄소화를 주요 목표로 한다. 컨소시엄에는 HD한국조선해양과 MIT를 비롯해 그리스 해운사 캐피탈(CAPITAL)과 미국선급(ABS) 등 조선해양분야 선도 기업 및 기관이 창립멤버로 참여하며, 그리스 해운사 도리안(DORIAN)과 싱가포르 해양연구소(SMI), 영국 재생에너지 투자사 포어사이트 그룹(Foresight Group) 등도 혁신멤버로 참여해 연구개발을 진행한다. HD한국조선해양은 컨소시엄 참여를 통해 자율운항 전문회사 아비커스의 ‘하이나스 컨트롤(HiNAS Control)’을 비롯해 현재 개발 중인 AI 기반의 통합자율운항솔루션을 실증한 후, MIT 연구진들과 공신력 있는 연비절감효과 검증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더불어, 조선업계 미래 선박으로
한중훼리 지희진 前사장의 부친 지을병씨가 3월 27일 별세했다. 향년 86세. 변소는 충남 부여 구룡장례식장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3월 29일 오전이다. -빈소 : 구룡장례식장(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흥수로 32) -발인 : 2025년 3월 29일(토) 오전 0시 -장지 : 공주나래원 -마음 전하는 곳 : 국민은행 814240256403 지희진
중국 뉴뉴쉬핑(NewNew Shipping Line)이 지난해 북극항로 운항이 수익성 측면에서 호조를 보였다며 올해 운항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뉴뉴쉬핑은 지난주 모스크바에서 열린 러시아-중국 물류 컨퍼런스인 '#Containers'에서 이같이 말했다. 뉴뉴쉬핑에 따르면 이 선사는 지난해 상하이~아르한겔스크 노선에서 2만 TEU 이상을 선적한 컨테이너선을 북극항로를 따라 13차례 운항했고, 꽤 높은 수익을 올렸다. 뉴뉴쉬핑의 지난해 운송 물량은 전년인 2023년보다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2023년의 경우 축치해에서 예년보다 일찍 10월 중순에 해빙이 생기면서 2024년보다 운항 시즌이 약 6주 짧았다. 뉴뉴쉬핑은 결국 2023년에 7월 이후 7번의 북극항로 운항을 통해 약 9500TEU를 실어나르는 데 그쳤다. 뉴뉴쉬핑은 올해 북극항로를 가로지르는 'Arctic Express No.1' 서비스를 위해 좀 더 큰 컨테이너선을 배치할 예정이다. 뉴뉴쉬핑은 수 년 내 쇄빙컨테이너선 5척을 진수할 계획이며, 북극항로 운항기간을 6월부터 12월까지 늘린다는 방침이다. 뉴뉴쉬핑은 "이들 쇄빙컨테이너선 5척은 현재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 중"이라고 밝혔다.
CMA CGM의 '에어 벨기에(Air Belgium)' 인수가 법원의 승인을 받으면서 탄력을 받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벨기에의 브라반트-왈롱상업법원(Brabant Wallon Business Court)은 에어 벨기에의 화물사업부문을 CMA CGM에 매각하는 것을 최근 승인했다. CMA CGM에 따르면 여기에는 에어 벨기에의 화물사업 부문과 4대의 항공기(Airbus A330-243F 2대, Boeing B747-8F 2대)를 인수하는 것이 포함된다. 또 총 401명의 직원 중 186명의 고용이 유지된다. CMA CGM은 최근 3년 간의 호황을 통해 벌어들인 자금을 바탕으로 사업을 다양하게 확장하고 있으며, 에어 벨기에 인수도 사업다각화 방침에 따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