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조선소가 올 상반기 발주된 LNG운반선을 '싹쓸이'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LNG선 발주물량 자체가 급감, 빛이 바랬다. 업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 세계적으로 발주된 신규 LNG선은 8척에 불과하며, 이를 모두 한국 조선사들이 가져갔다. 조선소별로 HD한국조선해양 5척, 한화오션 2척, 삼성중공업 1척이다. 이 중 최대 규모는 HD한국조선해양이 최근 그리스의 캐피털그룹(Capital Group)으로부터 수주한 LNG선 4척, 1조 3963억 원 짜리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1월 덴마크 셀시우스쉬핑(Celsius Shipping)으로부터 18만 ㎥급 LNG선 1척을 수주했고, 한화오션은 2월에 자회사인 한화해운으로부터 LNG선 2척을 수주했다. 한화오션의 경우 '자가 발전'으로 성과를 낸 셈이다. 이같은 실적은 2020년 상반기의 LNG선 3척 이후 최저치다. 지난해 상반기의 경우 카타르에너지의 '100척 플랜'에 따른 2단계 발주에 힘입어 전 세계적에서 14만 ㎥ 이상의 대형 LNG선 신규 발주가 64척에 달했다. 이에 따라 한국 조선소는 발주 물량을 싹쓸이하고도 비상이 걸렸다. 국내 조선업계는 올해 각 국이 추진하는 LNG허브프로젝트로 LNG선 발주
글로벌 최대 정기선사 MSC가 중국의 초대형 컨테이너선 건조를 견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MSC의 신조 발주로 초대형 컨테이너선 신조 경험이 없던 중국 조선소들이 잇따라 이 부문에 진출하고 있다. 최근 MSC로부터 2만 2,000TEU급 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최대 6척을 수주한 자오샹쥐그룹 산하의 CMHI Haimen조선소도 이 경우에 해당한다. 업계 소식통들에 따르면 CMHI Haimen조선소가 그간 건조한 최대 컨테이너선은 파나막스급에 불과했다. 업계 관계자는 "MSC가 CMHI에 초대형 컨테이너선 건조를 시도해볼 만하다고 먼저 제안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중국의 주산창홍국제조선소, 헝리중공업, 장쑤한통그룹도 MSC의 발주를 통해 초대형 컨테이너선 건조 부문에 데뷔했다. MSC가 중국의 초대형 컨테이너선 건조 미경험 조선소에 물량을 발주하는 것은 기존 조선소로는 MSC 발주를 충족할 수 없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MSC는 선대 확장을 위해 중고선을 적극 매입하는 한편 공격적으로 신조 발주를 하고 있다. 현재 MSC가 발주한 2만 TEU급 이상 초대형 컨테이너선은 옵션을 포함해 총 52척에 달한다.
컨테이너선 시장이 2분기의 극심한 급등락 이후 점차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 27일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1861.51로, 전주 대비 8.08포인트, 0.4% 하락하는 약보합세를 나타냈다. 제프리스(Jefferies)의 오마르 녹타(Omar Nokta)가 이끄는 애널리스트팀은 "컨테이너 운임이 5월 중순에 급등한 이후 6월 초 이후 하락하면서 시장이 차분해졌다"면서 "역사적으로 한 분기 안에 이처럼 급등과 급락이 반복된 적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아시아발 미 서안 노선 운임은 지난 4월 초 FEU당 약 2,500달러에서 시작해 6월 초에는 거의 6,000달러까지 치솟았다가 현재 다시 약 2,500달러로 돌아왔다. 제프리스 애널리스트들은아시아~유럽 노선 운임이 상승세인데다 중남미 노선 운임이 눈에 띄게 강세를 보이면서 태평양 항로의 부진을 상쇄했다고 밝혔다. 이날 미 서안 노선은 FEU당 2578달러로 전주에 비해 194달러, 7.0% 하락했고, 미 동안 노선은 FEU당 4717달러로 전주 대비 635달러, 11.9% 내렸다. 반면 유럽 노선은 TEU당 2030달러로, 전주 대비 195달러, 10.63% 올랐다. 또 남미 노선은 TEU당 6220달러
북동대서양환경보호조약(OSPAR) 회원국들이 27일 스페인 비르고(Virgo)에서 장관급 회담을 갖고 스크러버 세척수 배출에 대한 최초의 지역적 금지조치를 채택했다. 16개 OSPAR 회원국들은 이번 회담에서 2027년 7월까지 스페인에서 노르웨이, 그리고 서쪽으로는 그린란드에 이르는 북동 대서양 해역에서 개방형 스크러버 세척수 배출을 금지조치키로 했다. 폐쇄형 스크러버는 늦어도 2029년 1월부터 배출금지 조치가 시행된다. NGO들은 지역적 금지조치를 확대한 이 조치를 환영하면서도 12해리 범위내의 영해 전체에 이 조치를 적용할 것을 촉구했다. NGO인 '위기에 처한 바다(Seas at Risk)' 등은 선박 배기가스에서 유황을 제거하기 위해 해수를 사용하는 스크러버가 다환방향족 탄화수소(PCR)와 중금속을 포함한 오염물질을 배출한다고 주장해왔다. 이번에 채택된 개방형 스크러버 금지 조치는 내해와 항만 주변 해역에만 적용된다. OSPAR 회원국들은 스크러버 세척수가 영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를 실시한 후 2027년 금지 조치의 범위를 재차 논의키로 했다. 한편 OSPAR 회원국들은 이번 회담에서 해양보호구역을 250만 ㎢ 이상 확장키로 했다. 여
영국 동부해안의 헐(Hull) 주민들이 항만에 정박 중이던 선박에서 발생한 연기로 큰 혼란을 겪었다. 27일 오전 헐항의 앨버트(Albert)도크에 정박 중이던 8,814dwt급 '알타이(Altay)호'(2006년 건조)에서 화재가 발생해 엄청난 연기를 뿜어냈다. BBC 방송 들에 따르면 이 때문에 헐 주민들은 창문과 문을 닫을 수 밖에 없었고, 일부 사업장은 영업을 중단했다. 경찰은 도로를 폐쇄하고, 운전자들에게 주의하라고 경고했다. 주민들은 고무 타는 듯한 냄새가 났다고 전했다.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방차 4대가 파견됐으며, 화재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승무원도 모두 무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배는 고철을 운반 중이었으며, 소방당국은 화재가 화물칸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했다. 알타이호는 지난 23일 네덜란드 이유무이덴(Ijmuiden)항에서 출항했으며, 기국은 마셜제도다. 2017년부터 튀르키예 선사가 관리하고 있다.
HD현대의 조선 중간 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은 최근 오세아니아 소재 선사와 LNG운반선 4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총수주 금액은 1조 3963억 원이다. HD현대삼호에서 건조해 오는 2028년 하반기까지 순차 인도할 예정이다. HD한국조선해양은 발주사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소식통들은 발주사가 그리스의 캐피털그룹(Capital Group)이라고 전했다. 계약 선박은 17만 4,000cbm급이다. 이로써 캐피털그룹의 오더북에서 LNG운반선은 14척이 됐으며, 계약금액은 35억 달러를 웃돌게 됐다. 또 HD한국조선해양은 이번 수주를 포함해 올해 총 76척(105억 달러)을 수주해 연간 수주목표 180억 5000만 달러의 58.2%를 달성했다.
일본 최대 조선소인 이마바리조선소가 JMU(Japan Marine United)를 인수했다. 이마바리조선소는 JMU의 지분을 60%로 늘리면서 사실상 일본에서 두 번째로 JMU를 자회사로 편입했다. 이에 따라 JMU의 대주주이던 철강 제조업체 JFE 홀딩스와 엔지니어링업체 IHI Corp의 지분은 각각 35%에서 20%로 줄어들었다. 이들 3대 주주는 공동성명을 내고 “이마바리조선소와 JMU는 서로의 강점을 활용해 중국, 한국 등과 경쟁하고, 경영 측면에서도 신속하고 포괄적인 판단을 내려 일본 조선산업의 발전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JMU는 2013년 초 유니버설 조선과 IHI 마린 유나이티드의 합병을 통해 설립됐다. 이마바리조선소는 2019년 합의한 사업 협정에 따라 2021년 JMU의 지분 30%를 인수한 바 있다.
양창호 한국해운협회 상근부회장이 27일 이재명정부의 북극항로 개발 공약에 대해 "시의적절하다"고 말했다. 양 부회장은 이날 경기 성남의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서 열린 '2025년 해운협회 사장단 연찬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5년, 10년 후에 북극항로를 생각하면 늦다"며 이같이 밝혔다. 북극항로 개발은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부산을 동북아 해양 수도로 발전시키겠다며 내놓은 공약이다. 해양수산부와 HMM을 부산으로 옮겨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한다는 구상이다. 양 부회장은 "북극항로는 연중 거의 얼음에 덮여 있어 당장 컨테이너선 정기항로가 개설된다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지금처럼 2~3개월이 아닌 최소 6개월 이상 운영할 수 있는 시기가 그리 멀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항로는 항만과 항만 배후지가 있어야 유지되는데, 그 과정에서 가장 많은 이익을 보는 곳이 부산이라 생각한다"며 "부산항이 싱가포르항처럼 허브 항만으로 거듭나려면 지금부터 무엇을 준비하고 투자해야 하는지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 부회장은 부산의 발전발안 중 하나로 꼽히는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에 대해서는 "이전할 경우 그 기능과 역할이 확대돼야 하고, 해운과 조선·해양플랜트 산
"탈탄소화를 위해 친환경 선박으로 적기 전환을 이뤄내겠다." 박정석 한국해운협회 회장은 27일 경기도 성남시 소재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서 열린 ‘2025년 사장단 연찬회’에서 인사말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탈탄소화는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국제해사기구(IMO)는 2050년까지 해운업 분야 탄소 배출량을 '0%'로 줄이는 탄소중립(Net Zero) 달성 목표를 설정하고, 2027년부터 5000톤급 이상 선박에 탄소세를 부과키로 하는 등 연일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박 회장은 "정부와 공조하고, 국적선사가 국내 금융기관 및 조선소를 활용해 발주할 수 있도록 상호협력해 미래 친환경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덧붙였다. 해운협회는 또 이재명정부의 전략물자 국적선박 확보를 통해 물류 안보를 실현하는 방안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방안은 핵심에너지 운송에 대한 국적선박 이용률을 7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골자다. 박 회장은 "유사시 공급망 유지 전략물자 등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전략 상선대 운영을 추진할 것"이라며 "해운업이 기간산업으로 인식되도록 인식 제고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와 함께 ‘해운 공동행위’에 대해 공정거래법 적용을 제외하는 해운법
부산항만공사(사장 송상근, BPA)가 7월 1일 자로 23개 부서 체제에서 24개 부서 체제로 조직개편을 단행한다. 이번 개편은 글로벌 물류환경 변화와 새 정부 정책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전략사업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기능 중심 개편이다. 이번 개편은 기관장 경영방침과 조직 진단, 내부 의견수렴, 노조 협의를 거쳐 마련됐으며, 지난 19일 항만위원회 심의를 통해 확정됐다. BPA는 이 과정에서 부산항을 글로벌 친환경 거점항만이자 북극항로의 중심항만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5대 분야에 대한 대응조직을 정비했다. 우선 북극항로 상용화에 대비하여 글로벌사업단 산하에‘북극항로팀’을 신설하고, 국제물류지원부를‘국제물류지원실’로 승격했다. 이는 북극항로 개척을 전략적으로 준비하고, 정책 수립부터 실행까지의 전 과정을 총괄하기 위함이다. 또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과 친환경 물류 기조에 따라‘친환경항만부’ 기능을 확대하고, 전담조직인‘에너지자립사업팀’을 신설했다. 향후 메탄올, 수소, 암모니아 등 차세대 친환경 연료 기반 벙커링 시스템 구축 등 에너지 자립 항만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바 있는 '글로벌 거점항만 구축 계획'을 실질적으로 이행하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