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은 프랑스 선급(BV)으로부터 '암모니아 기반 수소 연료전지 추진 원유운반선'의 기본설계 인증(Approval in Principle)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암모니아 기반 수소 연료전지는 크래킹(Cracking) 기술을 이용해 암모니아를 수소와 질소로 분리하고, 분리된 수소를 연료전지에 공급한 후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이번 인증은 11만 5000톤급 원유운반선에 적용되었으며 저온에서 작동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를 탑재해 빠른 시동이 가능하며 내구성도 우수하다. 또한, 대용량 암모니아 크래킹 장비(5MWⅹ2)와 수소 연료전지 (2MWⅹ6)를 갑판과 엔진 룸에 분산 배치해 안전성을 높였고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삼성중공업은 수소 연료전지 선박에 국내 업체인 파나시아의 크래킹 장비, 빈센이 개발한 연료전지를 적용해 핵심 장비를 국산화했다. 특히, 말레이시아 국영 선사인 MISC와 프랑스 선급 BV가 선박 개발에 참여해 선박 운용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경제성 평가를 진행하게 됨으로써 기술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상용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장해기 삼성중공업 기술개발본
파나마운하관리청이 저탄소 선박을 위한 전용 환승 슬롯 제도인 ‘NetZero 슬롯’을 도입한다. 이 이니셔티브는 환경 기준을 충족하는 선박에 우선 운송권을 부여함으로써, 친환경 기술에 투자하는 해운사들에게 실질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 NetZero 슬롯은 기존 경매 기반의 일반 슬롯과 달리, 탄소 배출이 적은 선박에 경쟁력 있는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첫 시행은 2025년 11월 2일부터 8일까지의 운송 주간에 적용될 예정이며, 신청은 10월 3일부터 가능하다. 파나마운하관리청의 지속가능성 사업책임자 일리아 에스피노 데 마로타(Ilya Espino de Marotta)는 “NetZero 슬롯은 세계 무역의 지속가능성과 경쟁력에 대한 우리의 약속을 보여주는 제도”라며 “저배출 미래로의 전환에 고객과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초기 등록기준에 따르면, 적격 선박은 이중연료 운항이 가능해야 하며, 탄소집약도 계수가 75gCO₂e/MJ 이하인 연료를 최소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녹색 메탄올, 녹색 암모니아, 바이오 LNG 및 바이오 LPG 등이 저탄소 연료로 인정된다. NetZero 슬롯을 신청한 선박은 PCUMS 톤수, 과
ONE(Ocean Network Express)가 자사 초대형 컨테이너선 ‘ONE Innovation호’를 통해 싱가포르에서 세계 최대 적재량 신기록을 달성했다. ONE는 ‘ONE Innovation’호가 총 2만 2,233TEU를 적재하며, 컨테이너선 역사상 가장 많은 적재량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3년 12월 ONE Innovation호가 기록한 2만 2,000TEU를 넘어서는 수치로, ONE의 이전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ONE Innovation호는 ONE이 보유한 2만 4,000TEU급 ‘메가맥스(Megamax)’ 선박 6척 중 1호선으로, 일본 JMU의 구레 조선소에서 건조됐다. 선박 길이는 400m에 달하며, 최대 적재 용량은 2만 4,136TEU로 ONE 선단 중 가장 규모가 크다. 이번 적재는 싱가포르항에서 이뤄졌으며, 선박은 현재 아시아-유럽 간 FE4 항로를 따라 영국 펠릭스토우항으로 향하고 있다. ONE는 이 선박이 프리미어 얼라이언스(Premier Alliance)의 일원으로 FE3 서비스에 투입되고 있다고 밝혔다. ONE는 2017년 일본의 K-Line, MOL, NYK의 정기선 사업부문을 통합해 설립된 선사로, 현재 약 2
싱가포르 선사 X-Press Feeders가 2021년 스리랑카 콜롬보 앞바다에서 침몰한 컨테이너선 ‘X-Press Pearl’호 사고와 관련해 스리랑카 대법원이 명령한 손해배상금 지급을 거부했다. 법원은 사고로 피해를 입은 지역 어민들과 환경 복구를 위해 총 10억 달러의 손해배상금을 4회 분할해 지급할 것을 명령했으며, 첫 번째 2억 5000만 달러는 23일까지 납부해야 한다. 그러나 X-Press Feeders는 “현재 단계에서는 결제가 불가능하며, 스리랑카 당국과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지급을 거부했다. X-Press Feeders의 CEO 슈무엘 요스코비츠는 “이번 판결은 향후 해상사고 처리방식에 위험한 선례를 남길 수 있다”며 “무제한적 보상 가능성을 열어두는 판결은 국제 협약과도 상충된다”고 주장했다. ‘X-Press Pearl’호는 질산 누출 사고 이후 스리랑카 항만당국의 정박 거부로 인해 화재가 발생했고, 결국 침몰하면서 9,700톤의 에폭시 수지와 1,680톤의 플라스틱 펠릿 등 대량의 유해 물질이 바다로 유출됐다. 이는 역사상 가장 큰 플라스틱 유출 사고 중 하나로 기록됐다. 스리랑카 대법원은 선사가 사고 당시 상황을 항만에 충분히 알리지
해양환경공단(이사장 강용석)은 23일부터 24일까지 이틀간 국회 중앙잔디광장과 국회 경내에서 열리는 ‘2025 국회 입법박람회’에 참가한다고 23일 밝혔다. 대한민국 국회가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국회·정부·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시민단체 등 총 119개 기관이 참여해 ▲기후위기 극복 ▲지방소멸 대응 ▲민생경제 활성화를 주제로 정책 현안을 공유하고 국민과 함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단은 ‘기후위기 극복’을 주제로 정책 체험부스를 운영해 ▲해양 기후위기 관련 공단 사업 전시 ▲해양환경 VR 체험 ▲해양환경 관련 입법 현황 등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공단 우수정책을 소개하고 대국민 소통활동을 펼친다. 특히 부스를 찾은 국민을 대상으로 해양환경 및 기후위기 관련 의견 수렴을 실시해 향후 공단의 국민 참여형 소통체계를 구축하고 해양환경 정책 반영 등에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강용석 이사장은 “이번 박람회가 해양 기후위기와 해양환경에 대해 국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되길 바란다”며 “공단은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해양환경 정책을 통해 국민의 의견으로 바꿔가는 바다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북극항로를 지나 중국과 유럽을 잇는 노선이 가동되면서 첫 번째 컨테이너선이 22일 닝보저우산항을 출항해 영국 펠릭스토우항으로 향했다. 이는 중국이 추진하는 ‘북극 실크로드(Polar Silk Road)’ 프로젝트로, 아시아와 서구를 연결하는 고속 해상 물류망 구축을 목표로 한다. 출항에 나선 선박은 4,890TEU급 ‘이스탄불 브릿지(Istanbul Bridge)호'다. 2000년 건조된 이 선박의 선주는 Sea Legend Line이다. 이 선박은 22일 중국 저장성 닝보저우산항의 베이이 컨테이너터미널에서 화물을 선적을 완료한 뒤, 영국 동안 펠릭스토우항으로 향하고 있다. 10월 10일 펠릭스토우항 기항에 이어 로테르담(네덜란드), 함부르크(독일), 그단스크(폴란드)에 차례로 들른 뒤 10월 20일 상페테르부르크 기항으로 운항을 마무리한다. 중국에서 영국까지의 항해 기간은 약 18일로, 기존 수에즈 운하를 경유할 경우 약 40일이 소요되는 것과 비교해 절반 이상 단축된다. 희망봉을 통과하는 항로는 추가로 10일이 더 걸린다. 이번 서비스는 칭다오, 다롄, 상하이, 닝보 등 주요 중국 항만과 서유럽을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유럽의 크리스마스 전 비축 시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가 주최하는 '제13회 부산국제항만컨퍼런스(Busan International Port Conference, BIPC)'가 23일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개최됐다. 24일까지 진행되는 올해 BIPC의 주제는 ‘지속가능한 항해, 혁신적 도약(An Innovative Leap towards Sustainable Voyages)’이다. 최근 세계 교역 환경은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 급변하는 국제 정세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교역량 위축과 물동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해운·항만 업계 전반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부산항만공사는 이러한 세계 교역 구조가 흔들리는 상황 속에서 글로벌 항만 간의 긴밀한 협력과 연대가 절실하다는 인식 아래, 해운·항만·물류 산업이 함께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올해 BIPC를 마련했다. 이번 행사는 이러한 도전 속에서 항만들이 어떻게 혁신하고 협력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질적 해법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번 행사에서 특히 주목받은 세션은 글로벌 컨테이너 해운시장 전망과 주요 항만들의 디지털 전환 및 탈탄소화 경험과 성과를 공유한 자리였다. ‘컨테이너 해운시장 계량 분석의 선구
내년 1월의 32대 선원노련 위원장 선거를 앞두고 '2강' 체제를 구축 중인 현 박성용 위원장과 '3수생'인 김두영 위원장 간 '전운'이 고조. 해운업계 관계자는 "이번에도 소송과 이전투구가 빚어지지 않겠느냐"며 최근 불발된 임시중앙위원회 사건을 언급. 이 관계자에 의하면 박성용 위원장은 지난 12일 부산 마린센터 회의실에서 임시중앙위원회를 열어 대의원 징계건을 처리하려 했으나 대의원들에게 의사봉을 뺏겨 개회 조차 못했다는 것. 업계에서는 이 사건을 내년 1월까지 이어질 싸움의 신호탄으로 보면서 현재 불거진 박 위원장의 '위원장 자격 논란'에 주목하는 분위기. 박 위원장은 선박관리노조 위원장 출신으로 연맹 위원장이 됐으나 제주도해상노조 가입을 추진하면서 선박관리노조로부터 '중복 가입' 이유로 제명된 것으로 알려져. 박 위원장은 이에 따라 현재 제주도해상노조 조합원으로 위원장직을 수행 중이며, 이에 대해 반대편에서 '자격 무효'를 주장하고 있다는 것. 해운단체 관계자는 "양측의 주장이 완전히 달라 봉합은 어려울 것"이라며 "결국 '위원장 업무정지 가처분 신청' 등 법적 판결 쪽으로 가지 않겠느냐"고 반문.
글로벌 에너지 전환 흐름 속에 LNG운반선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좌초자산으로 전락할 위험에 처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좌초자산이란 기존에는 경제성이 있어 투자가 이뤄졌으나 시장 환경 변화로 인해 가치가 하락하고 부채가 되어 버리는 자산으로, 대표적인 좌초자산에는 석탄발전소가 있다. UCL에너지연구소와 쿠네기후센터(KCC, Kuehne Climate Center)가 공동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35년까지 LNG운반선에 투자된 약 480억 달러가 수요 둔화와 선단 과잉으로 인해 상각될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보고서는 다양한 탈탄소화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심지어 화석연료 소비가 많은 4°C 온난화 시나리오에서도 LNG 선단은 향후 10년간 공급과잉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같은 분석은 2030년까지 LNG운반선 300척이 부족하다는 해운조선업계의 전망과 상반되는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특히 LNG운반선은 높은 신조 비용과 목적별 설계로 인해 다른 화물선으로의 전환이 어려워, 석유 및 LPG 유조선보다 더 큰 재정적 위험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UCL의 마리 프리코데 박사는 “이번 분석은 선박의 화물 전환 가능성을 처음으로 반영해 좌초
글로벌 주요 컨테이너 선사들이 중국 골든 위크 연휴 이후 수요 감소에 대응해 항해 취소(Blank Sailing)를 확대하고 있다. 항해취소에 나선 선사는 MSC, 머스크(Maersk), 하팍로이드(Hapag-Lloyd) 등이다. MSC는 아시아에서 북미 및 캐나다로 향하는 노선에서 5편의 항해를 추가로 취소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10월 12일까지 4주간 적용되며, 앞서 아시아-지중해 및 북유럽 노선에서 취소된 6편에 이어지는 조치다. 또 머스크는 8,650TEU급 ‘Kostas K’호를 포함해 아시아-아라비아만 노선 항해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머스크와 해운동맹 'Gemini'를 함께 운영하고 있는 하팍로이드는 이에 대해 골든 위크 전후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해운업계는 골든 위크 기간 동안 공장 가동률이 낮아지는 점을 고려해 매년 항해 취소를 단행해왔다. 하지만 올해는 수요 둔화와 운임 변동성이 더욱 뚜렷해지면서 공급 조절의 필요성이 더 커졌다. 덴마크의 해운시황 분석기관 Sea-Intelligence에 따르면, 태평양 횡단 노선은 14%, 아시아-유럽 노선은 17%의 공급 축소가 이뤄졌다. 그러나 미국의 중국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