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와미래 연구포럼 세미나'가 11일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성료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여러 국회의원들과 한국해운협회 박정석 회장, 장금상선 정태순 회장, 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 최윤희 회장, 한국해운협회 양창호 상근부회장, 한국도선사협회 조용화 회장, 에이치라인해운 서명득 사장 등이 참석했다. 해운협회 박정석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미국이 "SHIPS for America Act"를 시행하더라도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의 조선기술과 세계 4위의 선복량을 보유한 해운 강국으로서, 그동안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미국의 정책에 철저히 준비하고 대응한다면, 작금의 상황을 오히려 기회로 만드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주제 발표에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최건우 실장은 ▲미국의 신해양전략,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이호춘 본부장은 ▲미국 무역법 301조 및 SHIP for America Act 주요내용, 서울대학교 김용환 교수와 성결대학교 한종길 교수는 ▲해양산업 영향 분석(미국 조선업 정책 변화와 한국 조선업의 대응, SHIPS for America Act 해운분야 영향분석), 법무법인 광장 정우영 변호사는 ▲우리나라 해양산업의 대응방안에 대해 발표하
후티 반군이 11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선박에 대한 공격 재개를 공식 발표했다. 후티 반군 대변인인 야히야 사리는 이날 소셜미디어를 통해 "즉각 이스라엘 선박을 표적으로 삼는 공격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야히야 사리 대변인은 예멘군(Yemeni Armed Forces)이 홍해와 아라비아해, 바브알만다브 해협, 아덴만에서 이스라엘선박의 입항을 금지하는 조치를 다시 시행했다고 덧붙였다. 사리는 "이 금지령을 위반하는 모든 이스라엘선박은 선언된 작전구역에서 표적이 된다"고 강조했다. 사리는 금지조치 재도입은 "억압받는 팔레스타인 인민들과 그들의 무자헤딘을 지원하고 승리하기 위한 것"이라며 "국경을 다시 열고 가자 지구로의 지원물품 유입을 허용하도록 허락한 기한이 만료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가자 지구로 식량, 구호품, 의약품이 반입될 때까지 금지조치는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사리는 후티 반군이 이스라엘과 관련이 없는 선박에 대한 공격을 재개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언급치 않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국 건조 선박에 대한 제재방침에 따라 중국산 선박의 용선료가 하락하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선박중개업체 BRS는 새 시장에 대한 보고서에서 "중국과 관련된 선박들은 장기 용선계약에서 크게 매력이 떨어지고 있다"면서 "이는 용선기간에 어느 시점에서든 미국 항만에 기항해야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국 안팎으로의 운항만 감안하면 용선업체가 중국 선박을 계약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덧붙였다. BRS는 유조선 시장이 2개 등급으로 나뉠 가능성을 제기했다. 1급은 한국 및 일본산 등 비(非) 중국산이고, 2급은 중국 관련 선박으로, 2급 선박들은 1급 선박에 비해 용선료가 다소 낮게 책정될 것이란 예측이다. 또 로펌인 힐 디킨슨(Hill Dickinson)은 미국의 중국산 선박 제재에 대비해 용선계약서 문구, 맞춤형 조건, 항해 및 기간 고정에 대한 표준 용선계약서 양식 등에 대한 개정을 검토하고 나섰다. 힐 디킨슨은 최근 고객들에 보낸 통지에서 "해운업계의 초기 반응은 시장에서의 운임 인상, 멕시코 항만으로의 기항 전환, 중국조선소의 일부 신조선 계약 취소 등을 예상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전했다.
글로벌 컨테이너선대에서 1위이던 독일이 공식적으로 3위로 '추락'했다. 독일선주협회(VDR)는 현재 독일은 세계 컨테이너 해운시장에서 3위이며, 글로벌 선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7%라고 밝혔다. 독일은 2023년만해도 글로벌 컨테이너선대에서 1위였다. 하지만 지난해말 기준 독일의 컨테이너선 톤수는 총 3020만 gt로 스위스(3470만 gt)와 중국(3100만 gt)에 밀렸다. VDR 회장 마틴 크로거(Martin Kroger)는 "상선대와 운송허브 간의 국제적 경쟁은 치열하고 역동적이며 압박이 커지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독일 상선대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해양 중소선사들을 지속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VDR에 따르면 독일은 글로벌 7위 해운국의 지위는 유지했다. 선대는 총 4740만 gt이며, 선박척수는 1764척, 선사수는 약 290개다. VDR은 "독일 상선대가 해운업계에서 약 50만 개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면서 "이는 독일과 같은 수출주도형 국가의 생존을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상선대가 얼마나 필수적인지에 대한 명확한 반증"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강력하고 독립적인 상선대가 없다면 경제적 안정도 국가 안보도 없다"면서 "특히 지정학적
동아탱커가 핸디사이즈 벌크선 2척을 그리스 벌크선사 로드라인(Load Line Marine)에 매각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동아탱커는 최근 3만 3700dwt급 'DL 튤립호'와 3만 3800dwt급 'DL 메리골드호'(이상 2012년 건조)를 척당 960만 달러에 로드라인에 매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아탱커와 로드라인 간 선박 매매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여름 동아탱커는 로드라인에 3만 6000dwt급 'DL 쟈스민호'(2012년 건조)를 약 1,200만 달러에 팔았다. 이는 이번 매각가격보다 상당폭 높은 것으로, 지난 몇 달 간 벌크선 시황이 침체되면서 중고선가가 하락한 데 따른 것이다. 로드라인은 지난해 내내 벌크선을 사들이면서 2024년에만 약 8000만 달러를 들여 6척의 벌크선을 사들였다.
홍콩 선주들이 중국 당국의 선박 '징발'과 미국의 제재라는 이중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홍콩 기국을 대거 탈피하고 있다. 홍콩선사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국가안보 측면에서 홍콩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면서 선박이 징발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조성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여기다 중국인 소유 선박에 더 높은 미국 항만기항 수수료가 부과될 가능성도 우려를 사고 있다"고 덧붙였다. 베슬스밸류(VesselsValue)에 따르면 홍콩기국 상선은 톤수 기준으로 세계 8위에 랭크돼 있다. 1월 기준 홍콩기국 선박은 2366척으로, 4년 전(2580척)보다 약 8% 감소했다. 베슬스밸류는 2023, 2024년에 총 74척의 선박이 싱가포르와 마셜제도로 기국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이들 선박은 대부분 벌크선이었으며, 유조선도 15척이 포함됐다. 홍콩정부는 지정학적 상황 등에 따라 선사들이 기국을 변경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면서도 향후 세금 감면과 환경보호보조금 지급 등에 힘입어 홍콩은 여전히 국제운송센터로서 높은 경쟁력을 가질 것이라고 밝혔다.
팬스타그룹은 국내에서 처음 건조한 럭셔리 크루즈페리 ‘팬스타 미라클호’를 오는 4월 13일 일본 오사카엑스포 개막에 맞춰 공식 취항한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앞서 4월 9일 부산시 영도구 봉래동 대선조선에서 명명식을 열어 2021년 6월 미라클호의 개념 설계를 시작한 이후 약 4년에 걸친 대장정을 마무리한다. 팬스타 미라클호는 총톤수 2만2,000톤, 길이 171m, 폭 25.4m이며, 102개 객실에 승객을 최대 355명 수용할 수 있다. 20피트 컨테이너 250여개도 실을 수 있다.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한 선형(船形)을 채택하고, 디젤 엔진에 전기모터와 발전기 기능을 추가한 친환경 하이브리드 추진 방식을 도입해 연료 소모와 배출가스를 크게 줄였다. 파랑 속에서도 선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주는 핀스테빌라이저와 유사시 가까운 항구로 안전하게 귀항할 수 있게 해주는 SRtP(Safety Return to Port) 시스템 등 첨단 안전장치들을 갖췄다. 내부 인테리어는 Royal Modern Art, Starry Night, Isola Fantasia를 콘셉트로 5성급 호텔 수준으로 세련되게 꾸며 우아하면서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크루즈의 상징시설로 꼽히
대만 선사 완하이(Wan Hai)가 메탄올추진선 발주물량을 LNG추진선으로 변경하려고 국내 조선소들과 협상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 따르면 완하이가 추진방식을 변경하려는 물량은 지난해 10월 HD현대삼호와 삼성중공업에 발주한 1만 6,000TEU급 컨테이너선 각각 4척이다. 이 발주건은 작년 하반기 시장에서 성사된 몇 안 되는 메탄올 이중연료추진 초대형 컨테이너선 신조다. 척당 신조선가는 1억 8,600만~2억 400만 달러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기존 메탄올 추진선을 LNG추진방식으로 전환하면 신조선 비용이 상당폭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신규 1만 5000~1만 6500TEU급 메탄올 이중추진 컨테이너선의 신조가는 약 1억 9,400만 달러인 반면 같은 사양의 LNG 이중추진 컨테이너선은 최대 2억 250만 달러로, 약 850만 달러 차이가 난다. 공급 문제가 불거진 메탄올을 LNG로 전환하는 선사는 완하이가 처음은 아니다. 최근 몇 년간 메탄올 추진선을 발주해온 대만의 에버그린은 올해 초 자사의 첫번째 LNG 이중연료추진 컨테이너선을 발주했고, '메탄올 선박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 머스크도 지난해 LNG 이중연료추진 컨테이너선 신조로
예멘 후티 반군의 최후 통첩이 데드라인을 지나면서 글로벌 해운업계가 실제 공격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후티반군은 지난 7일 가자지구에 대한 인도적 지원 차단을 11일까지 해제하지 않을 경우 군사작전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후티 반군의 최후 통첩 시간이 지나면서 수에즈 운하를 향하는 선박들도 줄어든 것으로 전해졌다. 해운업계에선 일단 공격 미사일이 한발이라도 발사될 경우 이르면 올해 중반으로 기대되던 수에즈 운하 통항이 연말 이후로 미뤄질 것이란 전망이다. 8일 중동 매체 알자지라 등에 따르면 후티 수장 압둘 말리크 알후티는 전날 밤 TV연설에서 "4일이 지난 후에도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 구호품과 식량, 의약품이 반입되는 것을 막는다면 우리는 이 나라(이스라엘)에 대한 해상 작전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는 "이는 용감한 결정"이라면서 "15개월의 전쟁 기간 후티가 제공한 지원을 확대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스라엘은 지난 2일부터 구호품 트럭이 가자지구로 들어오는 것을 막고 있다. 이에 하마스는 24명의 이스라엘 인질과 34명의 사망한 인질의 유해를 계속 붙잡고 있다. 후티 반군의 경고에 대한 이스라엘 측의 반응
영국 잉글랜드 북동부의 북해에서 10일 화물선이 미군 항공유를 싣고 정박 중이던 유조선과 충돌했다. 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48분께 이스트 요크셔 앞 해상에서 포르투갈 선적 컨테이너선 '솔롱(Solong)호'가 미국 유조선 '스테나 이매큘럿(Stena Immaculate)호'의 측면을 들이받았다. 충돌로 여러 차례 폭발과 화재가 발생했으며 승조원들은 선박을 버리고 탈출을 시도했다. 영국 해안경비대가 헬기와 구명정 등을 급파해 승조원 37명을 전원 구조했다. 스테나 이매큘럿호는 4만 9792dwt급으로 크롤리(Crowley)가 스테나벌크(Stena Bulk)로부터 용선해 운영 중이었다. 또 솔롱호는 800TEU급 소형 컨테이너선으로 독일 선사가 관리하는 포르투갈 국적 컨테이너선으로 알려졌다. 앞서 항구 관계자는 부상자 32명이 해안으로 이송됐다고 밝혔으나 이날 오후 병원에 입원한 부상자는 1명으로 확인됐다. 스테나 이매큘럿호는 미 해군에 단기 용선돼 제트연료를 운송 중이었다. 사고 당시에는 제트 A-1 항공유 1만 8000톤이 적재돼 있었다. 이 선박을 운영하는 크롤리는 탱크에 파열이 있었고 연료가 유출된 것으로 보고됐다고 밝혔다. 솔롱은 컨테이너에 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