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선주들이 지난해 무려 1,230억 달러어치의 신조선을 발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해운정보제공업체 베슨노티컬(Veson Nautical)은 이같이 밝히면서 '홍해 위기'로 더 많은 선박이 필요해지면서 수요를 부풀리고 중국 선주들의 투자심리를 고양시켰다고 설명했다. 중국 선주들은 컨테이너선, 탱커, LNG선 등 거의 전 선종에 걸쳐 신조 발주를 쏟아냈다. 이 중 발주가 가장 많았던 선종은 유조선으로, 작년에 526척(274억 달러)이 발주됐다. 이어 벌크선이 430척(177억 달러), 컨테이너선 298척(460억 달러) 등의 순이었다. 신조선 발주 선사별로는 자오샹쥐그룹 산하의 China Merchants Shipping이 28척(44억 달러)을 발주하며 1위를 차지했다. 2~4위는 Cosco그룹이 휩쓸었다. Cosco쉬핑라인(Cosco Shipping Lines)은 1만 3,400~1만 4,000TEU 규모의 파나막스급 컨테이너선 18척(30억 6000만 달러)을 발주하며 2위를 차지했고, Cosco쉬핑개발(Cosco Shipping Development)은 벌크선 20척(9억 2,900만 달러)으로 3위였다. 4위는 Cosco쉬핑벌크(Cosco Shipp
미국 선사 크롤리(Crowley)가 선령 31년의 증기터빈식 LNG운반선을 매입한 것이 새삼 업계의 조명을 받고 있다. S&P 글로벌에 따르면 13만 405cbm급 규모의 '인탄(Intan)호'(1994년 건조)가 지난해 12월에 라이베리아선적에서 미국 기국으로 변경됐다. 선주는 크롤리(Crowley LNG Tanker Owner)로 등록됐으며, 선박관리업체는 노던 마린 매니지먼트(Northern Marine Management)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이 선박의 이름은 인탄호에서 최근 '아메리칸 에너지(American Energy)호'로 변경됐고, 미국에서 생산된 LNG를 푸에르토리코로 운송하는 데 투입될 예정이다. 크롤리가 노후된 LNG선을 매입한 이유도 미국산 LNG를 운송할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은 존스법(Jones Act)에 따라 미국 내 해상화물 운송은 미국 시민이 소유하고 미국 국기를 게양하며 미국 조선소에서 건조된 선박으로만 가능하다. 하지만 아메리칸 에너지호는 1994년 프랑스 아틀랑티크(Chantiers de l'Atlantique)조선소에서 건조됐다. 크롤리는 존스법의 예외조항에 따라 1996년 이전 외국에서 건조된 선박의 경우 미국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으로 여러 선종 중 컨테이너선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원유 수출국인 맥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는 30일간 유예했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관세 부과를 강행했고, 중국이 이에 맞대응하고 나선 상황이다. 노르웨이 투자은행인 DNB마켓(DNB Markets)은 4일 낸 보고서에서 "미국의 중국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으로 컨테이너선이 가장 큰 피해를 볼 것"이라며 "미국과 중국 간 태평양 항로를 통한 컨테이너선 시황은 관세 부과의 위험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DNB마켓의 해운 부문 애널리스트인 요르겐 리안(Jorgen Lian)은 "이전에 발생했던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에서도 컨테이너 운송 수요가 감소한 적이 있다"면서 "북미의 수입물량은 글로벌 컨테이너 물동량의 16%에 달할 만큼 비중이 크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자동차운반선사도 피해를 볼 것으로 분석했다. DNB마켓은 자동차운반선(PCTC)은 이미 오랫동안 관세 부과 위협을 받아왔으며, 특히 중국산 전기자동차가 그 대상이었다고 지적했다. 요르겐 리안은 "특히 미국의 관세가 일본과 한국까지 잠재적으로 표적으로 삼을 경우 자동차운반선 운
신임 해양경찰청장에 김용진<사진> 중부지방해양경찰청장이 내정됐다. 해양수산부는 5일 김용진 중부지방해양경찰청장(치안정감)을 해양경찰청장으로 임명 제청했다고 밝혔다. 김용진 해경청장 내정자는 1992년 42회 행정고시로 공직에 입문해 감사원 부감사관, 서울시 공보관리팀장 등을 역임했으며 2008년 경정 경력채용으로 해양경찰에 입문해 해경청 조직팀장, 대변인, 인사교육담당관, 울산해양경비안전서장, 동해해양경찰서장, 해경청 국제협력관·경비국장·기획조정관·차장을 거쳐 현재 중부지방해양경찰청장을 맡고 있다. 김내정자는 풍부한 현장경험과 현장 위주의 합리적인 정책 역량을 보유하였다고 평가받고 있으며, 조직 내·외부로부터 두터운 신망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현장지휘관을 역임하면서 탁월한 지휘통솔 역량을 바탕으로 해양영토 분쟁, 해양사고 대응력 강화, 구조 전문역량 확보 등 안전한 바다 만들기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해경청장은 해양경찰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해양경찰위원회의 동의를 받아 해수부장관 제청으로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싱가포르해협에서의 해적 활동이 올들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아시아해적퇴치협정 정보공유센터(ReCAAP-ISC)에 따르면 올들어 1월 1일부터 2월 3일까지 싱가포르해협 동쪽 항로를 항해하는 선박에서 총 11건의 해상강도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기간(4건)보다 거의 3배 늘어난 것이다. ReCAAP는 "11건의 사건은 모두 풀라우 쿨라와 헬렌 마르 리프 인근의 필립해협을 통항하는 선박들에서 발생했다"고 밝혔다. 11건 중 4건은 짧은 시간에 중복해 발생했다. 1월 26일과 2월 3일 새벽에 각 2건의 해적 공격이 이뤄졌다. 7건의 공격에서 엔진 예비 부품 도난 등의 피해가 있었고, 4건에서는 물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한 건의 공격에서는 해적들이 기관사의 손을 묶고 물품을 강탈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양수산부가 진행하는 내항선 친환경 전환사업 일정이 확정됐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은 국내항을 오가는 연안선사의 친환경선박 도입을 지원하기 위해 ‘친환경인증선박 보급지원사업’의 대상자를 오는 3월 27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공단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위탁받아 수행 중인 ‘친환경인증선박 보급지원사업’은 국가에서 인증하는 친환경선박을 건조하는 민간사업자에게 보조금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민간 선사의 친환경선박 보급 및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추진 중이다. 보조금 지원 대상은 하이브리드, 전기추진,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추진 등 3등급 이상의 친환경 인증 선박을 발주하는 연안선사 등이며, 2021년부터 현재까지 총 20척(유선 3척, 도선 8척, 예선 5척, 화물선 2척, 기타선 2척)의 친환경선박이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면 친환경선박 인증등급과 신조선 선가에 따라 최소 6%에서 최대 30%(한도 50억 원)까지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친환경 인증 등급에 따른 취득세율 감면*(최대 2%p)과 친환경 연료 사용으로 인한 유류비 절감 등의 추가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친환경인증선박 보급지원사업’의 신청자격, 신청절
인천항만공사(IPA)는 인지도 제고와 접근성 확대를 위해 직관적인 명칭이 필요하다는 이용자 의견을 반영해, 신규명칭 공모와 대국민 선호도 조사결과를 실시한 후 인천항 컨테이너 통합정보 플랫폼의 명칭을 ‘싱글윈도우’에서 ‘iCON’으로 변경했다고 5일 밝혔다. iCON은 ‘인천항의 대표 아이콘이 된다’는 의미로, ‘i’는 incheon(인천), information(정보), internet(인터넷)을, ‘CON’은 Container(컨테이너), Connection(연결), Consistency(정합)의 뜻을 담은 합성어다. IPA는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자체 개선 노력을 거쳐 인천항에 위치한 5개 터미널 운영사의 정보·서비스를 iCON으로 일원화했으며, 이를 통해 인천항의 ▴혼잡도 등 터미널 정보 ▴선석 배정정보 ▴컨테이너 반출입정보 ▴도로교통정보 ▴기상정보 ▴각 터미널사 긴급공지 앱 푸시 알림 등의 서비스를 PC(Web)·모바일(App) 방식으로 제공한다. 공공서비스 연계를 통한 ▴해양기상(인천항항로분기등부표) 정보 ▴인천항 주변 CCTV 3개소 정보 등의 신규 기능도 이달 3일부로 개시했다. iCON은 안드로이드(Android) 기반 휴대폰과 아이폰(IOS
한국해양진흥공사가 공공기관 최초로 해운업 특수성을 반영한 신용위험 추정 모형으로 특허결정을 받았다. 한국해양진흥공사(사장 안병길, 이하 ‘해진공’)는 ‘유가와 운임지수 변동에 따른 해운사 신용위험 변동 산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특허청으로부터 특허 결정문을 취득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특허 대상은 해운업 운임지수와 유가 등 거시경제요소 및 탄소세 변화에 따른 해운사의 부도율 및 신용등급을 추정하는 모형으로, 모형의 바탕이 되는 연구는 지난해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인 ‘해양정책연구’ 제39권 제1호에 게재됐다. 해운업 익스포져(위험노출액) 보유 금융기관은 특허 모형을 활용하여 해운 시황 악화 및 탄소세 부과에 따른 해운사별 신용위험 영향을 파악하고, 해운사의 신용위험 증가에 따른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규모 등 금융기관의 재무건전성 영향을 파악하여 해운업 위기상황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도모할 수 있다. 해진공은 이번 모형을 현재 구축중인 통합리스크관리시스템에 도입할 예정이며, 시황 악화 시 해진공이 해운기업들의 안정적 선박 도입과 유동성 확보 지원여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모니터링하는 리스크관리 장치로 사용하게 된다. 안병길 해진공 사장은 “이번 신용위험 모
조신희 수협중앙회 조합감사위원장<사진>이 자격요건을 갖추지 않은 채 2년5개월 동안 감사로 활동해온 것으로 드러나면서 수협과 수산업계에서 입방아. 조신희 전 여수해양수산청장은 지난 2022년 7월 반드시 거쳐야 할 절차인 공직자취업심사를 거치지 않은 채 수협 조합감사위원장직에 올라 지금까지 월급을 받고 감사 역할을 해왔다는 것. 이같은 사실이 확인되면서 조 감사위원장은 새로 취업심사를 받아야 하는 것은 물론 1000만 원이 넘는 과태료를 부과받을 것으로 예상. 수산업계 관계자는 "조 감사위원장의 경우를 보면 수협에서 금융사고가 끊이지 않는 것도 충분히 이해가 간다"며 "조직의 기강을 다잡아야 할 감사가 무자격자인데 제대로 운영이 되겠느냐"고 반문. 이 관계자는 "당시 무엇이 그리도 바빴길래 절차도 제대로 거치지 않았는지 의문"이라며 "만에 하나 취업심사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말 그대로 황당한 상황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 임기가 오는 7월까지인 조 감사위원장은 36회 행정고시에 합격해 해양수산부 어업교섭과장, 국제원양정책관, 주피지 대사 등을 거친 정통 관료출신이다.
그리스의 억만장자 조지 이코노무(George Economou)가 발주하려던 10척의 LNG 이중추진 컨테이너선이 결국 중국에 발주됐다. K-조선이 기대를 걸었지만 신조선가 차이로 무위에 그쳤다. 업계에 따르면 이코노무 소유의 TMS그룹은 최근 중국 저우산창홍국제조선소와 최대 10척('6+4척')의 1만 1,400TEU급 컨테이너선 신조선 계약을 체결했다. 신조선가는 척당 약 1억 4000만 달러로 알려졌다. 저우산창홍국제조선소는 임대받은 선박 수리시설에서 이들 컨테이너선을 건조해 2027년 4분기부터 2028년 말까지 순차적으로 인도할 예정이다. TMS그룹은 100척이 넘는 유조선, 벌크선, 가스선 등의 선대를 운영 중이며, 오더북도 LNG운반선, VLGC, VLAC 등 약 40척에 달한다. TMS는 컨테이너선 사업을 접었다가 지난해 11월 HJ중공업에 스크러버 장착된 7,900TEU급 컨테이너선 4척을 발주하며 4년 만에 컨테이너선 사업에 컴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