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는 24일 고용노동부가 주최하고,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주관한 '2024년 장애인 고용촉진대회'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고용노동부는 장애인 일자리 창출ㆍ장애인 고용환경 및 인식개선 등을 통해 장애인 고용촉진에 기여한 사업주, 장애를 극복하고 맡은 업무에 전념해 모범이 된 장애인 노동자, 장애인 근로지원 및 인식개선·연구 등에 기여한 업무 유공자를 대상으로 정부포상을 수여했다. BPA는 발달장애인의 권리 증진을 위해 ’23년 10월 공공기관 최초로 쉬운말 채용공고문을 제공했으며, 중증장애인 적합직무 발굴 및 제한경쟁채용 등 으로 장애인 고용 촉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한편, BPA는 2022년 공공기관 중 유일하게 장애인 고용 우수사업주로 선정된 바 있다. BPA 진규호 경영본부장은 "앞으로도 다양한 장애인 고용 확대 방안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BPA가 거둔 성과를 전체 공공 분야로 확산하는 데도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인천항만공사(IPA)는 김상기 운영부문 부사장이 아암물류 1단지 내에 위치한 자동차 부품 납품 기업 천일정기화물자동차㈜를 찾아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인천항 수출 물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했다고 23일 밝혔다. IPA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항의 자동차 수출은 2022년 대비 42.2% 증가한 76만 대를 기록했으며, 올해 1분기 기준 수출 실적은 지난해 동기 대비 1.9% 증가한 10만 9000대를 달성해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IPA는 인천항을 통한 자동차 수출 물동량 증가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김상기 부사장이 직접 수출 자동차 부품 납품 기업을 찾아 물류 현장을 둘러보고 기업 임직원과 자동차 물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에 방문한 천일정기화물자동차㈜는 인천항을 통해 자동차 부품을 수입하고 인천지역 신차 제조공장으로 부품을 납품하는 아암물류 1단지 입주기업으로, 지난해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로부터 우수 협력사로 선정되는 등 높은 수준의 품질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IPA는 이번 자동차 부품 관련 기업 방문에 이어 ▴중고자동차 수출 물류업계 면담 ▴제5회 인천국제해양포럼 내에 자동차 물류 관련 세션도 진
해양환경공단은 '2023년 부산 북항 해양오염퇴적물 정화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3일 밝혔다. 부산항은 국내 최대 컨테이너 항만이자 배후에 각종 공장과 항만시설로 둘러싸인 반 폐쇄성 해역으로 하천이나 육상에서 중금속, 유기물질 등이 다량 유입돼 정화사업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항만이다. 이에 2020년 해양수산부 부산지방해양수산청과 해양환경공단은 부산 북항의 해양환경, 해저지반, 사업여건, 사업규모 등을 조사하는 실시설계를 수행했고 2021년 본격적으로 정화사업에 착수했다. 사업규모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약 350억 원의 국비가 투입되며 약 45만 ㎥의 오염퇴적물을 수거해 처리할 계획이다.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사업으로 약 18만 ㎥의 오염퇴적물이 처리됐다. 이번 사업은 3년 차 사업으로 작년 7월부터 올해 2월까지 10만 ㎡ 해역에서 약 11만 ㎥의 오염퇴적물 수거 및 처리를 완료했다. 한편 공단은 올해 부산 북항 내 7만 ㎡ 해역에서 약 10만 ㎥의 오염퇴적물을 수거 및 처리할 계획을 세우고 5월부터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인천항만공사(IPA)는 올해 1분기 투자집행 사업 예산에 대해 목표액인 345억 원 대비 72억 원 초과 달성한 417억 원을 집행했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311억 원 대비 106억 원 늘어난 규모라고 21일 밝혔다. IPA는 이경규 사장을 중심으로 투자사업 집행대상 사업을 중점 관리하고 있으며, 18일 개최한 ‘제2차 투자집행 점검 회의’에서 1분기 투자집행 실적을 점검하고 집행 현안사항을 공유했다. 또한, 올해 상반기 신속 집행목표 645억 원과 최종 목표 1,151억 원을 초과 달성할 수 있도록 사업별 공정률을 수시 점검하고 예산 집행이 부진할 경우 다른 사업의 예산을 추가 집행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경규 사장은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모든 임직원이 유기적으로 협력한 결과 투자집행 사업 목표를 초과 달성할 수 있었다”며 “예산 신속 집행 노력이 국민경제 회복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IPA는 올해 2월 ‘2024년 제1차 투자집행 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인천신항 1-2단계 ‘컨’부두 개발사업을 포함한 총 5개 투자사업에 대해 지난해 대비 140억 원 증가한 1,151억 원의 예산집행을 결정한 바 있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이 중소형선박 설계업체 기술지원을 위한 ’중소형선박 설계 가이드북(이하 가이드북)‘을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 누리집을 통해 무료 배포한다고 18일 밝혔다. 선박 설계사무소, 조선소 등은 선박 건조 시 관련 법령에 따라 공단에서 설계 도면을 승인받아야 한다. 하지만 지난 2월 공단이 중소형 선박설계 업체 71곳을 대상으로 자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인적‧물적 자원이 열악한 전국 중소형 선박 설계업체 대다수에서 도면 설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57%가 2개 이상 분야를 설계하고 있었고, 업계 이직률도 높아 기술 전수도 어려웠다. 이에 공단은 올해 초 중소형 선박설계 업체의 현장 의견을 수렴해, 도면 설계 등 현장 실무에 즉시 활용이 가능한 종합 가이드북을 제작했다. 가이드북에는 선박용 물건의 ▲설계도서 작성 일반사항 ▲설계도서 작성 실무 ▲도면별 주요 지적 사항 등이 담겼다. 공단은 지난달 28일 남해권역 중소형 선박 설계업체 대상 기술지원 세미나를 열어 이번에 제작한 가이드북 40부를 현장 배부하고, 가이드북 사용 안내와 현장 질의응답 등을 진행했다. 올해 중 서남권, 동해권, 서해권* 등에서도 동
인천항만공사(IPA)는 인천항 아암물류2단지 '전자상거래 특화구역(해양수산부 공고 제2020-1116호)' 잔여부지 약 8만 8000㎡를 대상으로 국제물류센터(Global Distribution Center, GDC) 운영 등 전자상거래 특화 물류단지 입주 희망기업의 투자유치를 내달 중 추진할 예정이라고 14일 밝혔다. IPA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미래투자 가능성에 중점을 둔 민간제안사업으로 추진되며, 참여희망기업은 해당 구역(획지 전체 또는 일부 선택)에 대해 자율적으로 사업을 제안할 수 있다. 아암물류2단지는 전국 최대 해상통관장 유치, 종합보세구역 지정을 통해 전자상거래 물류에 최적화된 부지로 ▴수도권과 인접한 인천항의 지리적 이점 ▴인천공항과의 Sea&Air 연계 ▴대중국 카페리 서비스 등 물류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천항 전자상거래 특화구역은 이커머스➊∼➎획지(23.3만 ㎡)와 스마트 공동물류센터(2.3만 ㎡) 1개 획지 등 25만 6000㎡로 조성됐으며, 민간자본 3,189억 원 유치에 성공하고 물동량 6만 3,865TEU, 고용 1,349명을 창출(입주기업 5개사 사업계획기준)함으로써 지정 당시 기대했던 목표를 상회하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은 최근 세종시 도담동 늘봄초등학교 재학생 대상 ‘찾아가는 해양안전교실’을 시작으로, 어린이 등 고객 맞춤형 ‘찾아가는 해양안전교실’을 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찾아가는 해양안전교실’은 해양 안전사고 예방과 안전의식 확산을 위해 공단 전문가가 전국 어린이집과 유치원, 초중고교와 일반단체 등을 직접 방문, 모든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종합 안전체험교육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공단이 지난해 처음 학교 등 단체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해양안전교실’을 시행한 결과, 교육 횟수는 총 621회, 교육 참여 인원은 총 2만 3,358명을 달성했다. 교육생 대상 만족도 조사 결과도 총 5점 만점에 4.48점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번 교육에는 늘봄초등학교 4학년 학생 85명과 교사 6명이 참석했으며, 공단 제작 교안을 활용한 해양안전 이론교육을 시작으로, 구명조끼 착용 등 선박용 구명설비 활용법과 심폐소생술 교육 같은 체험형 실습교육이 제공됐다. 공단이 개발한 해양교통안전 가상현실(VR) 프로그램을 활용한 해양사고 모의훈련도 제공됐다. 공단이 지난 2월 전국 각 교육지원청을 통해 찾아가는 해양안전교실 상반기 수요 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은 성어기 조업 중 어선 안전사고 대비 등을 위해 부산공동어시장 일대에서 부산지역 어업인 초청 해양안전간담회를 개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공단이 지난달 20일(수)부터 이달까지 시행하는 해양안전 특별대책 본부 활동의 일환으로서, 부산‧울산‧경남 일대는 공단 전국 관리 선박의 27.8%(20,405척)를 차지하는 해양수산 중심지이다. 이번 간담회는 전국 18개 지사 중 약 16%에 달하는 선박검사를 실시하는 주요 지사인 부산지사에서 실시했다. 최근 5년간(2019~2023년) 부산‧울산‧경남지역에서 발생한 어선 해양사고는 총 2,410건으로, 사고로 인한 사망‧실종자수는 109명, 부상자수는 445명으로 파악됐다. 사망‧실종자 대다수는 ‘작업 중 어구나 로프 등의 신체가격’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66명)에서 발생했다. 부상자는 충돌(109명)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부산지역 연근해 어업 종사자 70여 명 등이 참석한 가운데, 김 이사장은 이들과 직접 소통하며 조업 현장의 고충과 여러 요청 사항을 경청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어업인들은 표준어선형 복지공간 제도 개선, 기관 비개방검사 대상 어선
부산항만공사(BPA)는 부산 북항 마리나 상업시설 운영 사업자를 일반경쟁입찰 방식으로 선정하기로 하고, 9일부터 5월 20일까지 공고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북항 마리나 상업시설이 자리한 건축물은 7층 규모이며, 입찰 대상 면적은 6,748.73㎡이다. 수변카페, F&B, 상가, 숙박시설 등 사업자가 제안하는 다양한 목적의 친수공간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사용 기간은 사용승낙 시작일로부터 최대 10년(5년+5년)이다. 입찰참가 자격은 관광진흥법, 공중위생관리법, 식품위생법 시행령에서 각각 정한 호텔업, 숙박업, 식품접객업(단란주점,유흥주점은 제외) 중 하나를 신고·허가·등록 완료하고 직전 회계연도 직영 연매출액이 예정가격 (16억 3,300만 원) 이상인 국내법인이다. 입찰 희망업체는 5월 20일 사업제안서를 부산항만공사에 직접 제출하고, 공고기간 내에 온비드에서 입찰가격을 제시하면 된다. BPA는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의 평가를 거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사업자 선정 일정과 신청방법은 BPA 누리집(www.busanpa.com)의 입찰정보 및 온비드(http://www.onbid.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인천항만공사(IPA)는 지난 5일 미국 크루즈 선사인 로얄 캐리비안 크루즈(Royal Caribbean Cruise)의 '세레나데 오브 더시(Serenade of the Seas, 9만 톤급)호'가 인천항 크루즈터미널에 입항했다고 밝혔다. 세레나데 오브 더 시호는 승객 2,490명과 승무원 891명 등 3,381명을 태우고 홍콩을 출발해 기륭, 오키나와, 나하, 부산을 거쳐 코로나19 이후 4년 만에 인천항을 재방문했다. 승객 2,490명은 서울과 인천지역을 관광한 후 세레나데오브더시호와 함께 텐진으로 출항했다. IPA는 이번 입항을 기념해 선장 등 선사 관계자에게 기념패를 증정했으며, 승객과 승무원을 환대하기 위해 한복체험 행사를 운영했다. 또한, 관광안내소와 무료 셔틀, 투어버스를 운영해 미국, 영국, 홍콩 등에서 온 승객들의 인천 중구 개항장 거리, 차이나타운, 월미도 등 인천의 관광명소 방문을 지원했다. 한편, 올해 1분기 인천항의 크루즈 여객 실적은 6,147명으로 지난해 실적인 1만 2,403명의 50%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