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한국선급, 회장 이형철)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리고 있는 노르쉬핑 2025(Nor-Shipping 2025)에서 삼성중공업과 「3기 화물탱크 적용 174K LNG 운반선 개발」에 관한 업무 협약(MOU)을 4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현재 모든 선종이 대형화되는 추세 속에서도 174K급 LNG선은 여전히 전 세계 LNG조선 시장에서 가장 표준적인 선형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매년 수십 척 이상이 발주되는 주요 선종이다. KR과 삼성중공업은 이 같은 174,000㎥급 LNG 운반선의 기술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기존 4개의 화물탱크를 3개로 줄이는 축소설계를 적용하면서 경제성과 구조적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계획이다. 탱크수를 축소함으로써 선체 경량화를 통해 연료 효율이 향상되고 LNG의 자연 증발 및 기화하는 현상이 감소하게 되어, 경제적 운항비용 절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펌프타워의 수가 줄어들어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운용 효율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탱크 크기가 커질수록 탱크 내 내부 액체가 출렁이는 슬로싱 현상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탱크 벽면 및 구조물에 압력을 반복적으로 가함으로써 선박의 구조적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HD현대의 자율운항 자회사 아비커스(Avikus)가 자율운항 효율성 제고를 위해 덴마크의 해양엔지니어링업체 제로노스(ZeroNorth)와 기술제휴 협정을 체결했다. 아비커스의 '레벨 2' 자율운항시스템과 제로노스의 운항 및 선박 최적화 플랫폼을 결합하는 형식이다. 협정은 아비커스 임도형 대표와 제로노스의 CEO 소렌 마이어(Soren Meyer)가 3일 오슬로에서 열린 노르쉬핑(Nor-Shipping) 행사장에서 만나 체결했다. 아비커스와 제로노스는 "해운업계는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탄소배출량을 줄이며, 안전을 강화해야 한다는 압박에 직면해 있지만 바다와 해안의 상황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는 말로 기술제휴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양사의 통합시스템은 날씨, 연료소비량, 항해 지침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사용해 선박의 속도와 경로를 자동으로 조정하고 스마트충돌방지 기능을 통해 안전성을 높이게 된다. 아비커스는 지금까지 전 세계로 350척 이상의 선박에 자율운항기술을 제공했으며, 제로노스의 최적화 플랫폼은 5,500척 이상의 선박에 사용됐다.
메이저 엔진제조업체인 MAN Energy Solutions가 사명을 Everllence로 변경했다. Maschinenfabrik Augsburg-Nurnberg의 약자인 MAN은 Ever와 Excellence의 합성어인 Everllence로 바뀌었다. MAN ES의 CEO 우베 라우버는 4일 독일 아우크스부르크의 본사에서 새로운 회사 명판을 공개하는 행사를 열었다. 라우버는 "회사명 변경은 우리가 지속가능한 탈탄소화 솔루션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반영한다"고 밝혔다. Everllence는 여전히 폭스바겐그룹의 자회사로 남게 된다. MAN은 1980년 덴마크의 Burmeister & Wain을 인수하여 MAN B&W라는 별도 엔진 브랜드를 만들었다. 주력인 MAN Diesel과 MAN Turbo는 2010년 합병해 MAN Diesel & Turbo가 됐으며, 2018년에 사명은 MAN Energy Solutions으로 바뀌었다.
KR(한국선급, 회장 이형철)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리고 있는 '노르쉬핑 2025'(Nor-Shipping 2025)에서 HD현대중공업과 '초대형 에탄 운반선 개발'에 관한 업무 협약(MOU)을 3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에탄운반선은 에탄(Ethane)을 액화시켜 약 -100°C로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운송하는 고부가가치 선박으로, 고도의 기술력과 설계 역량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번 공동개발을 통해 선보일 초대형 에탄운반선은 100,000m³ 이상의 화물 적재가 가능한 대형 선박으로, 기존 선박의 기본 사양을 크게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화물 적재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에탄 외에도 LPG, 프로필렌 등 다양한 화물의 적재 및 운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선주의 운용 유연성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HD현대중공업은 본 선박의 기본 및 선체설계를 담당하며, KR은 최신 가스선 구조 규칙 및 국제 기준에 따라 설계의 안전성과 적합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개념승인(AIP, Approval in Principle)을 부여할 계획이다. HD현대중공업 류홍렬 전무는 “동일한 조건에서 더 많은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차세대 선
한화오션이 글로벌 선급들과의 협력을 통해 독보적인 친환경 선박 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진행 중인 국제선박전시회 ‘노르쉬핑 2025(Nor-Shipping 2025)’에서 한국선급(KR), 노르웨이선급(DNV) 등과 총 3건의 친환경 기술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차세대 친환경 선박 기술 개발을 위한 글로벌 협력을 통해 탄소중립 선박 기술 확보를 주도해 가기 위한 한화오션 행보의 일환이다. 한화오션은 한국선급(KR)과 15만 cbm급 초대형 암모니아운반선(VLAC) 개발에 나선다. 향후 암모니아 운송량이 늘어날 것을 대비해 선제적으로 암모니아운반선의 대형화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현재 건조되고 있는 암모니아운반선은 9만 3,000cbm급이 가장 큰 사이즈다. 암모니아는 연소 시 이산화탄소가 전혀 배출되지 않는 친환경 연료로, 향후 무탄소 시대를 이끌어 갈 대표적인 연료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간단한 공정을 통해 수소로 변환될 수 있어 현재까지 가장 경제적인 수소 운반 수단이기도 하다. 한화오션은 한국선급과 LNG운반선의 선수거주구 배치 설계 변경을 추진하기 위한 기술협력 MOU도 체결했다. 이를 통해 선박 후방
KR(한국선급, 회장 이형철)은 6월 3일부터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리고 있는 노르쉬핑 2025(Nor-Shipping 2025)에서 HD현대미포 및 HD한국조선해양과 '구조건전성 평가(Engineering Critical Assessment, ECA)를 활용한 액화가스운반선의 Type-C 탱크 설계'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최근 해운업계의 탈탄소화 흐름에 따라 LNG, 암모니아, 수소 등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들 연료는 대부분 고압 및 극저온 상태의 액화가스 형태로 저장∙운송되어,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연료탱크의 구조 안전성 확보는 친환경 선박 설계의 핵심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이번 협약은 이 같은 기술적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친환경 선박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IMO Type-C 독립형 탱크의 구조 안전성과 설계 신뢰도를 확보하여 친환경 선박 기술을 선도하고자 추진됐다. Type-C 탱크는 구조적 독립성과 고압화물 적재가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중소형 가스운반선 및 벙커링선 등에서 활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밀한 구조해석 역량도 필수로 요구된다. 이에 세 기관은 Type-C
HD현대중공업이 영국 퓨러스 마린(Purus Marine)으로부터 LNG운반선 1척을 수주했다. 이로써 HD현대가 퓨러스 마린으로부터 수주한 가스운반선은 10척으로 늘어났다. 퓨러스 마린은 2일 HD현대중공업에 18만 cbm급 LNG선을 발주했다며, 신조선은 2027년 4분기에 인도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조선가는 약 3,853억 원(2억 8,000만 달러)이며, HD현대삼호에서 건조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발주된 LNG운반선은 첨단 LNG이중연료 추진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퓨러스는 이 신조선이 기존 전통연료추진 선박과 비교할 때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대 25%, 질소산화물 배출량은 최대 85%까지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일본 선주사인 니센 카이운(Nissen Kaiun)이 HD현대와 LR2 제품운반선 신조 계약을 체결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니센 카이운은 11만 5,000dwt급 LR2 탱커를 약 7,350만 달러에 발주했으며, 2028년 4분기에 인도받을 예정이다. 이 선박은 필리핀 아길라의 수빅조선소에서 건조될 예정이다. 한진중공업이 매각한 수빅조선소는 현재 HD현대가 임대해 운영 중이다. 이번 발주분을 포함, 니센 카이운이 올들어 HD현대에 발주한 LR2 신조선은 총 3척이 됐다. 앞서 지난 4월 니센 카이운은 2척을 발주했다. 이들 LR2 탱커는 2028년 1분기에 인도될 예정이다. 가족이 운영하는 선주사인 니센 카이운은 특히 HD현대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니센 카이운은 LR2 외에도 올해 HD현대미포와 중형 LPG운반선 2척을 척당 8,100만 달러에 발주했다. 4만 cbm급 이들 LPG선은 2027년 하반기 인도될 예정이다. 니센 카이운은 200척이 넘는 다양한 선박을 보유한 일본 최대 규모의 선주사들 중 하나로, 클락슨에 의하면 현재 60척 이상의 오더북을 갖고 있다.
천연가스 생산업체들이 한화오션의 미국내 LNG운반선 신조를 포함해 미국 LNG선 신조에 대해 시큰둥한 반응을 나타냈다. 2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 노르쉬핑에서 Golar LNG의 CEO 칼 프레드릭 슈타우보는 연설을 통해 "MR 탱커가 기존 설계보다 5배나 비싼 비용으로 미국에서 건조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열린 패널 토론에서 그는 미국 조선업과 관련, "운임이 5배로 오르지 않으면 세계는 계속해서 가장 싼 곳에서 생산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Navigator Gas의 CEO 마즈 피터 자코는 "충분한 보조금이 있다면 무엇이든 이룰 수 있다지만 미국의 조선업은 해군 함정과 소형 선박에 집중하면서 글로벌 산업의 변두리에 머물 것"이라고 말했다. 자코는 "(조선업 부흥을 위한) 전면적이고 막대한 보조금은...생겨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베슬스밸류(VesselsValue)에 따르면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의 조선소에서 17만 4,000cbm급 LNG운반선을 건조하는 데 드는 비용은 약 2억 5,900만 달러다. 이들 3개국은 지난 수년간 수백척의 LNG운반선을 건조해왔으며, 특히 한국은 800척 이상을 건조해 압도적인 선두를 달리고 있다. 미국
HD현대와 삼성중공업이 참여한 모잠비크LNG 프로젝트의 LNG 신조사업이 다시한번 연기됐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양 조선소는 모잠비크LNG 프로젝트를 추진업체인 토탈에너지(TotalEnergies)가 오는 8월 말까지 이들 LNG선 발주를 약속하면서 계약 연장을 요청하자 이를 수용했다. HD현대와 삼성중공업이 계약한 물량은 각각 9척, 8척으로, 이번이 10번째 발주 연기에 해당한다. 모잠비크LNG 프로젝트의 LNG선 신조는 당초 2020년에 4개 선주사에게 할당되면서 시작됐다. HD현대삼호가 건조할 9척은 일본 MOL이 5척, K-라인이 4척을 각각 맡았고, 삼성중공업 건조물량은 일본 NYK와 그리스의 마란가스(Maran Gas Maritime)가 4척씩을 맡아 운영키로 했다. 토탈에너지는 지난달 200억 달러 규모의 이 프로젝트를 올해 착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토탈소프트의 CEO 패트릭 푸이앤은 지난달 말 "이 지역의 안보상황이 개선됐다"면서 "4년 전 선언된 불가항력을 해제하기 위해 모잠비크정부의 승인을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12.9mtpa 규모의 모잠비크LNG 프로젝트에 참여한 주주들은 무장반군들의 공격으로 이 지역이 혼란에 휩싸이자 2021년 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