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기선 시황 활황속에 올해 컨테이너선 발주와 인도가 역대급을 써 나가고 있다.
클락슨(Clarksons)은 지난 2년간 약 200만 TEU에 달했던 컨테이너선 인도량이 올해 280만 TEU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알파라이너(Alphaliner)의 전망치는 이보다 더 많다. 알파라이너는 2023년, 2024년, 2025년 인도량이 역사적 평균치보다 2~3배 높을 것으로 예상하면서 올해 상반기 인도된 선박은 271척, 168만 TEU에 달한 것으로 추산했다. 알파라이너는 올 하반기에 149만 TEU가 추가로 인도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예상 인도량이 317만 TEU인 셈이다.
라이너리티카(Linerlytica)는 7월 현재 신조선 인도의 정점이 지났다고 진단했다. 올 2분기에 월평균 31만 5,000TEU가 인도된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매일 약 2척의 새 컨테이너선이 인도된 것이다. 특히 지난 6월이 정점으로, 51척의 신조 컨테이너선이 인도됐다. 라이너리티카는 신조컨테이너선이 3분기에는 월평균 26만 TEU, 4분기에는 23만 TEU로 점차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라이너리티카는 7월 초 글로벌 컨테이너선 선대가 처음으로 3,000만 TEU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했다.
신조발주는 올해 오더북이 100만 TEU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됐다. 선박중개업체 MB쉽브로커는 발주량이 앞으로 수개월 내 100만 TEU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했다.
알파라이너에 따르면 올들어 6월까지 발주된 컨테이너선은 64척, 54만 3,500TEU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