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도호'가 33년 간, 68만 km의 대장정을 마치고 퇴역한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26일 KIOST 남해연구소 부두(거제시 장목면 소재)에서 ‘이어도호 퇴역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이희승 KIOST 원장, 진성일 선장을 비롯한 승무원과 직원들이 참석하여 1992년 3월 취항이후, 33년간 6,894일, 68만 km 거리의 대장정을 마무리하는 ‘이어도호’의 퇴역을 축하할 예정이다. ‘이어도호’는 마지막 임무로 지난 8일 제주해상에서 침몰한 ‘135금성호’ 수색 지원 작업에 투입됐다. ‘이어도호’는 그간 우리나라 연안과 지역해를 누비며 해양 순환기후 탐사, 해류 특성조사, 해양방위 작전해역 환경조사 등 다양한 해양조사 연구에 투입돼 우리나라 해양과학 발전에 기여하였다. 당초 유인잠수정 ‘해양 250’의 모선이자 연근해용 연구선으로 건조되어 심해 및 대양탐사의 지평을 열었으며, 해군과 기획한 ‘해양특성조사사업’과 ‘한국해역 종합해양환경도 작성연구’ 등에 투입되어 한반도 주변해역의 해양개발·이용에 필요한 해양자료를 제공했다. ‘이어도호’는 취항 초기부터 우리나라 연근해는 물론 해외 해역으로도 연구 영역을 확장하였다. 1992년 필리
플라스틱 생산 감축을 포함하는 강력한 플라스틱 협약이 만들어지는지 감시하기 위해 세계 시민이 나섰다. 국제 플라스틱 협약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 회의(INC5)가 25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한 가운데, 그린피스가 벡스코 인근 요트경기장에서 건물 10층 높이(60m 상공) 크레인에 #We Are Watching(전 세계 시민이 지켜보고 있다) 초대형 눈 깃발을 띄웠다. 협상장에 참석하는 각국 대표단에게 생산 감축을 포함하는 강력한 플라스틱 협약 성안을 촉구하기 위해서다. 이 초대형 깃발은 스위스 예술가 댄 아처(Dan Acher)와 그린피스가 협업한 작품으로, 전 세계 시민 6472명이 초상사진을 제공해 가로 30m, 세로 24m 크기의 거대한 눈 형상을 완성했다. 윌리엄 샤트너, 제임스 크롬웰, 조앙 퍼시피코 등 취지에 공감하는 유명인들도 대거 참여했다. 국제 플라스틱 협약은 UN 회원국들이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법적 구속력을 갖춘 협약을 마련하는 과정으로, 2022년부터 총 5차례에 걸쳐 협상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생산 자체를 감축하자는 강력한 협약 지지국과 재활용 중심의 폐기물 처리를 강조하는 산유국 등의 입장이 대립하며,
중국이 북극 해저 유인탐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심해유인잠수정을 개발하는 CSSC 산하 704연구소에 따르면 이 잠수정은 극지연구선인 '탄쑤오산하오호(심해탐색 3호)'의 선체에 있는 구멍을 통해 발사되도록 설계됐다. 704연구소는 잠수정의 수중 도킹과 저온 작동 등을 포함해 일련의 테스트를 수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704연구소는 세부사항은 공개하지 않았으며, "미래에 극지과학연구, 심해 석유가스 및 광물 자원 탐사, 해저 파이프라인 건설 및 유지관리, 심해 수색 및 구조작업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자체 시스템을 개발했다"고만 밝혔다. 극지연구선은 해빙으로 인해 운용에 제한이 많다. 따라서 잠수정을 보내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긴 하지만, 극한의 조건은 상당한 기술적 과제를 안겨준다. 현재까지 북극 해저에 유인장수정을 보내는 데 성공한 국가는 러시아가 유일하다. 704연구소는 심해 탐사를 지원하기 위해 모선에 필요한 장비세트를 설계했으며, 여기에는 1만 m의 윈치시스템과 잠수함의 배치 및 회수시스템이 포함됐다. 모선인 탄쑤오산하오호는 지난해 6월 광저우국제조선소에서 건조 작업에 들어갔으며, 내년에 운항에 들어가 해상시험을 시작할 예상이다. 중국은 북극에
한국해양과학기술원(원장 이희승, 이하 KIOST)은 한국환경생물학회가 선정하는 ‘2024년 구양환경생물학상’ 수상자에 KIOST 생태위해성연구부 백승호 책임연구원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올해 3회째를 맞는 ‘구양환경생물학상’은 우리나라 환경·생물학 발전에 기여한 우수 연구자를 표창하기 위한 상으로, 시상식은 오는 10월 17일(목) 소노캄 여수에서 열리는 ‘2024년도 한국환경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진행된다. 백승호 책임연구원은 2007년 일본 요코하마국립대학교에서 환경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2009년 KIOST의 전신인 한국해양연구원에 입사한 이후, 남해연구소 생태위해성연구부에서 해양 적조생물 및 환경오염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SCI급 국제 학술지에 주저자 및 교신저자로 41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PICES)에서 해양 유해 적조 생물(HABs)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백승호 책임연구원은 “해양 적조와 환경오염은 인간의 경제 활동으로 발생되는 대표적 문제로, 단순한 연구 대상이 아니라 과학과 정책이 함께 협력하여 해결책을 찾아야 할 실천적 과제”라며, ”해양생물학자로서 과학적 연구를 통해 소통하고, 해양 환경과 생태계를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바다에 떠다니는 부유성 해양 플라스틱에서 열대·아열대에 서식하는 맹독 저서성 미세조류를 발견하고, 폐쇄생태계를 활용하여 이들 미세조류의 플라스틱 재질에서의 재성장 및 재부착 특성을 밝혀 국제학술지에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KIOST 남해연구소 백승호 박사 연구팀은 육상에서 기인한 생활 쓰레기와 강이나 바다에서 조업 중 버려지는 해양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어 바다의 국경을 넘나들며 외래종의 이동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거제시 장목면에 위치한 남해연구소 내 부두앞 바다에서 해양 중대형 플라스틱에 속하는 비닐과 페트병을 채집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채집한 플라스틱에서 열대·아열대에 주로 서식하며, 어류독소의 원인중 하나인 ‘시구아테라(Ciguatera)’를 함유하고 있는 와편모조류를 발견하였다. 시구아테라 어류독소(Ciguatera fish poisoning, CFP)는 열대·아열대 지방의 해조류 및 산호초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맹독성 와편모조류에 의해 생성된다. 이 와편모조류를 섭취한 작은 생물이 더 큰 어류에게 먹히면서 먹이사슬을 통해 독소가 축적되며, 시구아테라 독소가 축적된 어류를 인간이 섭취할 경우 신
해양수산부는 해양보호생물인 게바다말, 새우말 등이 서식하는 경북 포항 호미반도를 해양보호구역으로 확대 지정한다고 5일 밝혔다. 호미반도는 지난 2021년 12월 해양생태계 우수성을 인정받아 일부 지역(0.25㎢)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됐다. 이후 지역 주민들과 포항시의 확대 지정 요청에 따라 생태계 조사와 공청회를 거쳐 호미곶과 구룡포, 장기면에 걸친 구역(71.77㎢)이 해양보호구역으로 확대 지정됐다. 해수부 관계자는 "해양보호생물인 게바다말과 새우말 서식지를 체계적으로 보전·관리해 해양생태계 보전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북 포항 호미반도 해양보호구역 확대 지정으로 국내 해양보호구역은 습지보호지역(갯벌) 18곳, 해양생태계보호구역 16곳, 해양생물보호구역 2곳, 해양경관보호구역 1곳 등 총 37곳이 됐다.
중국 남부지방 집중호우로 양쯔강 물이 바다로 대량 흘러들어오면서 제주 바다에 ‘고수온·저염분 물 덩어리’ 비상이 걸렸다. 소라와 전복, 광어 등 어족자원에 큰 피해가 우려되는 탓이다. 28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29일 고수온·저염분 물 덩어리(고수온 28도 이상, 저염분 26psu(실용 염분 단위) 이하)가 마라도 남서부 약 30km 인근 해역에 유입될 것으로 예상됐다. 실용 염분 단위는 바닷물 1kg에 녹아 있는 염류의 양(g)을 말하는데, 평년 여름 제주 바다의 염분 농도는 30~31psu다. 고수온·저염분 물 덩어리가 제주에 유입되는 이유는 이달 초부터 중국 남부지방에 쏟아진 집중호우로 양쯔강 유출량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제주도에 따르면 이달 26일 기준 중국 양쯔강 하구에서 초당 5만8000 t의 물이 바다로 흘러들고 있으며, 이는 평년 유출량(약 4만7000 t)을 크게 웃돈다. 고수온·저염분 물 덩어리는 어족자원에 큰 피해를 준다. 저염분 물 덩어리에 노출된 어류는 삼투압 조절과 간 기능이 저하돼 심할 경우 폐사에 이른다. 실제 1996년에 19~25psu의 저염분수가 제주 서부 연안 마을 어장에 유입돼 소라, 전복 등 총 184t이 폐사해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최근 5년간(2019~2023년) 신용카드 매출액 빅데이터를 분석해 우리나라 연안지역의 해양관광시장 소비규모와 트렌드를 발표했다. 최일선 박사팀(지역경제·관광문화연구실)의 분석에 따르면, 2023년 우리나라 연안지역 상권규모는 65조 1,766억원으로, 전년대비 12.3% 증가했다. 해양관광시장 소비규모는 40조 9,430억원으로, 연안지역 전체 상권의 62.8%를 차지하며, 전년대비 9.3% 늘어났다. 이는 국민들의 바닷가에 대한 관심 증가와 정부의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정책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부산의 해양관광시장 소비규모는 6조 6,709억 원으로 가장 컸으며, 전남(5조 5,484억 원)과 경남(5조 3,950억 원)이 그 뒤를 이었다. 전체 상권규모 중 해양관광업종 매출액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으로 75.8%, 제주가 71.5%, 경북이 69.3%로 나타나, 이들 세 지역은 연안경제에 해양관광 의존도가 높음을 시사한다. 연안지역별 외지인과 내지인의 해양관광 소비 비중을 분석한 결과, 외지인 소비 비중이 높은 지역은 강원(68.4%), 충남(66.1%), 제주(60.2%)였으며, 내지인 소비 비중이
부산 앞바다의 여름철 수온이 1970년대 이후 해양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된 탓에 전 지구평균보다 4배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디지털로 복원한 1923년~1964년 사이에 해양관측자료 약 10만건과 이후 현재까지 60년동안의 해양관측자료를 비교분석한 결과, 최근 50년간 우리나라 해역의 온난화는 지구평균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1960년대 이후 해양관측자료는 우리나라 전체 해역에서 매년 빠짐없이 격월 단위로 실시하고 있는 데이터를 토대로 한 것이다. 이 관측자료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돼 수과원 누리집과 한국해양자료센터를 통해 공개되고 있다. 수과원은 관측자료가 가장 풍부한 부산 앞바다를 192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10년 단위 표층수온 변동을 겨울과 여름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그 결과, 부산 앞바다는 1970년대 이후 수온이 전 지구평균 대비 겨울은 약 2배, 여름은 약 4배나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는 우리 바다의 해양온난화 경향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과거 해양 자료의 디지털화 복원으로 우리 바다의 100년간 수온 시계열이 완성됐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2024 북극아카데미'를 지난 8일부터 12일까지 부산에 위치한 KMI 본원에서 5일간 개최한다. 북극아카데미는 한국과 북극권 학생들 간의 교류 및 소통을 통해 북극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국제교류협력 프로그램으로, 2015년부터 해양수산부의 주최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과 북극대학연합(UArctic)이 공동으로 개최해 10회째를 맞이했다. 올해 수강생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지난달 3일부터 참가자 모집을 진행, 접수 당일 선착순으로 20명 신청이 마감됐다. 북극대학연합(UArctic)은 180여 개 대학·연구기관으로 구성된 북극권 최대의 학술교류네트워크다. 지난 3년간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던 북극아카데미는, 작년부터 팬데믹 상황이 완화됨에 따라 참가자들 간의 실시간 교류를 활성화하는 교육 과정으로 새롭게 변화시켜 진행하고 있다. 8일 부산 영도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개최된 개회식에서는 KMI 김종덕 원장, 안네 카리 한센 외빈(Anne Kari H. Ovind) 주한노르웨이 대사, 해양수산부 이진우 극지팀장, U-Arctic 라르스 쿨레루드(Lars Kullerud) 총장, 극지연구소 신형철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