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5 (일)

  • 구름많음동두천 23.6℃
  • 흐림강릉 21.8℃
  • 구름조금서울 25.0℃
  • 구름많음대전 25.2℃
  • 구름조금대구 24.8℃
  • 흐림울산 25.0℃
  • 맑음광주 25.1℃
  • 흐림부산 27.6℃
  • 맑음고창 24.3℃
  • 흐림제주 28.6℃
  • 흐림강화 23.9℃
  • 맑음보은 23.4℃
  • 맑음금산 23.8℃
  • 구름조금강진군 25.7℃
  • 흐림경주시 24.7℃
  • 구름많음거제 27.6℃
기상청 제공

해운/항만/물류

"HMM 유찰 예상"…쟁점은 영구채 전환 문제

해양기자협회 주최 'HMM 매각, 최선의 민영화 해법은?' 토론회

 

국내 유일의 원양 컨테이너선사인 HMM 매각을 놓고 해운업계 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유찰 가능성을 높게 점쳤다.

 

애초에 포스코나 현대차 등 인수 적정기업으로 손꼽힌 대기업들이 입찰에 나서기 어려운 조건인데다 현재 뛰어든 중견기업들은 HMM을 안고 나가기가 쉽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한국해양기자협회가 18일 서울 영등포구 해운빌딩에서 'HMM 매각 어떻게 해야 하나, 최선의 민영화 해법은?'을 주제로 마련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예비입찰에 참여한 기업들의 자격 논란부터 꺼냈다.

 

HMM을 실사 중인 하림의 자산규모는 17조 원, LX인터내셔널은 11조 원, 동원산업은 9조 원에 불과해 26조 원인 HMM을 인수하기 어렵고 인수하더라도 '치킨게임'이라는 격랑속에 좌초할 우려가 높다는 것이다.

 

이용백 전 HMM 대외협력실장은 "산은이나 해진공은 새우가 인수하든 고래가 인수하든 5~10년 뒤 일어날 일은 모른다고 할 게 아니라 (HMM에) 우수한 새 주인을 짝지어 주고 마무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자금은 회수하더라도 회사가 글로벌 10대 선사로 뿌리내릴 수 있게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한종길 성결대 교수는 "3분기 HMM의 영업이익은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고, 대외적으로는 최근 EU가 정기선 운항동맹을 더 이상 못하게 하는 등 해운업 상황이 바뀌고 있다"며 "특정 회사가 인수에 성공하더라도 많은 혈세를 동원해서 살려놓은 회사를 유지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그는 "글로벌 물동량은 연간 3% 증가하지만 선대 증가율은 17~18%나 되는 등 수급불균형이 극심하다"며 향후 6~10년 간 치킨게임이 진행될 가능성을 제기했다.

 

참석자들은 이어 영구채 문제를 집중적으로 거론했다.

 

이용백 전 실장은 "시장이 제일 싫어하는 게 불확실성 아닌가. 영구채를 소각할 것인지, 아니면 상환할 것인지 이런 불확실성을 제거해 줘야 HMM 매각이라는 흥행이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HMM이 발행한 영구채 중 이번 매각 대상에 포함된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 규모는 총 1조 원(2억 주)으로, 오는 25일 이전까지 보통주로 전환될 예정이다. 이 외에도 3억 3600만 주의 영구채가 잠재 주식전환 물량으로 남아 있다.

 

이기호 HMM 육상노조위원장도 "입찰공고에 매각할 최종 물량이 변동가능하다고 되어 있다. 이런 매각은 드문데, 매도인에 따라 언제든지 (매각 절차를) 취소할 수도 있다고 기재돼 있다"며 "그 결과 (예비입찰후보자로 선정된) 동원, 하림, LX가 (HMM을 인수할) 자격이 없다는 게 아니라, 왜 그들만 입찰했을까에 대한 답이자 매각의 한계"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입장을 정리해줘야 한다"며 "현실적으로 유찰 이야기가 나올 수밖에 없는 이런 부분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되어야 하고, 영구채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정부가 내는 게) 이번 매각의 핵심 사항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영구채 전환을 하지 않으면 배임이 된다'는 산업은행의 주장에 대해서는 '영구채 전환이 오히려 배임'이라는 반론이 나왔다.

 

권오인 경실련 경제정책국장은 "영구채 등으로 인한 문제 때문에 국익을 훼손하는 방향으로 매각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며 영구채에 대한 배임 시비가 있는데 (산업은행 등이)오히려 영구채 전환방침으로 배임을 하고 있는지 모른다"고 지적했다.

 

패널들은 "영구채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주가가 떨어져 신용보증기금이 8000억 원대의 손실을 보고 산은도 마찬가지로 고점 대비 큰 마이너스가 발생했는데 이것이야말로 배임"이라고 입을 모았다.

 

참가자 중 일부는 아예 유찰을 전제로 하고 의견을 냈다. 구교훈 배화여대 국제무역물류학과 교수는 "이번 매각은 유찰될 것"이라며 "이후 대기업이 마지못해 참여해 인수협상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업이 아닌 지방자치단체 등 지역사회가 인수에 나서는 새로운 방식도 제시됐다.

 

한종길 교수는 "독일 하팍로이드는 2대 주주가 함부르크시정부로 시에서 시황에 따라 지분을 20%에서부터 40%까지 변동시킨다"며 "이는 선사의 안정적 경영을 위한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민간과 함께 부산항만공사나 인천항만공사가 일정지분을 갖게 하고 우리의 인트라아시아 정기선사동맹이 산은 지분을 인수하는 방안이 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