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복과 컨테이너박스가 부족해지자 화주들이 일찌감치 슬롯을 예약하면서 전통적인 성수기가 기존 7~10월보다 1~2개월 일찍 시작됐다. 대만 선사 완하이라인(Wan Hai Lines)의 토미 셰이(Tommy Hsieh) 전무는 올해 1분기 결과를 경영실적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에서 "홍해위기로 톤마일이 늘어나면서 유휴 컨테이너선 용량이 19만 TEU, 즉 전체의 0.7%로 줄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선복량이 아주 부족해지면 아시아~미 동안, 아시아~북유럽 항로에 단기적인 해결책은 없어졌다"며 "4대 항로 뿐 아니라 호주, 뉴질랜드, 서아프리카, 남아프리카공화국, 남미, 동남아 항로의 운임도 인상됐다"고 전했다. 셰이 전무는 "예를 들어 아시아~남미 항로의 경우, 완하이의 수익의 15%를 차지하지만, 컨테이너를 구하기가 너무 어려워 애를 먹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코로나19 펜데믹 기간 동안 나타났던 컨테이너 부족이 반복되면서 '컨테이너 전쟁'이 시작됐다. 컨테이너 주문이 크게 늘어나면서 주요 컨테이너 제조업체들의 슬롯이 이미 11월까지 꽉 찼다"고 덧붙였다. 한편 올 1분기 완하이라인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8억 6,380만 달러, 순이익
일본 ONE가 하팍로이드와 CMA CGM, 그리고 Cosco가 공동운영하는 북미~인도 간 'Indamex' 선박공유 컨소시엄에서 탈퇴한다. 2개의 루프로 구성된 Indamex는 인도~미 동안 항로에서 시장점유율 1위인 컨소시엄이다. 업계에 따르면 ONE의 이번 Indamex 탈퇴는 ONE가 5월부터 인도 서부의 나바셰바(Nhava Sheva), 하지라(Hazira), 문드라(Mundra) 등 3개 항만을 미 동안과 연결하는 독립형 서비스 'WIN'을 개설한 데 따른 것이다. ONE의 Indamex 마지막 서비스는 오는 26일 나바셰바항에 도착할 예정인 IEX(인도~미 동안 익스프레스)의 '아테네호' 와 IE2(인도~미 동안 익스프레스2)의 '투카펠호'가 될 전망이다. ONE의 IEX내 선복량 비중은 전체의 20%, IE2에서는 10%다. ONE는 이같은 사실을 화주들에게 고지하고, 마지막 Indamex 운항 후 남겨진 컨테이너는 WIN 서비스 선박에 적재될 것이라고 전달했다. WIN은 Bin Qasim(Karachi)~Hazira~Nhava Sheva~Mundra~Damietta~Algeciras~New York~Savannah~Jacksonville~Cha
전국해상선원노동조합연맹(위원장 박성용)과 한국해운협회(해무위원장 박정석)는 20일 오후 4시 서울 여의도 해운빌딩 10층 대회의실에서 재단법인 ‘선원기금재단(Korea Seafarers Foundation, “KSF”)’ 설립을 위한 발기인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선원기금재단은 지난해 11월 6일 선원노련(이하 ‘노’)과 한국해운협회(이하 ‘사)가 체결한 '선원 일자리 혁신과 해운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사합의'에서 한국인선원의 양성·고용 확대 등을 위해 선원기금을 조성하기로 합의한 내용에 따라 이를 체계적으로 운용·관리하기 위해 설립한 것이다. 선원기금재단은 대한민국 국적선대의 확충 및 유지를 위해 선원의 양성과 일자리 확대를 위한 재투자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선원에 대한 직업인식 및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일련의 사업을 수행하고, 장기승선 장려 사업 등을 지원해나갈 예정이다. 특히, 이번 발기인 총회에서는 2024년 선원기금재단 설립 첫 해에 추진하는 주요 사업으로 선박 인터넷환경 개선사업, 선원 교육생 생계비 지원사업, 장기승선 장려사업을 검토했다. 주요 사업 선정배경에는 지난해 체결한 노사합의서에서 ‘선원들이 사회와 격리된 생활을 극복할 수 있도
인천항만공사(IPA)는 올해 1분기 컨테이너물동량이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한 87만 48TEU를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이전 역대 1분기 최대 컨테이너물동량은 2021년 1분기의 83만 1,577TEU다. IPA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물동량은 수출 42만 8,564TEU, 수입 42만 6,176TEU로 각각 전년 동월 대비 11.0%, 6.0%씩 증가했으며, 환적 물동량은 3,878TEU를 기록했다. 국가별 컨테이너 수출 물동량은 중국 27만 658TEU, 말레이시아 1만 81TEU, 베트남 3만 5,782TEU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3만 232TEU(12.6%), 3,336TEU(45.9%), 1,844TEU(5.4%) 늘어났다. 국가별 컨테이너 수입 물동량은 미국 1만 3,185TEU, 대만 1만 3,629TEU, 중국 22만 5,756TEU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4,972TEU(60.5%), 4,506TEU(49.4%), 4,402TEU(2.0%) 증가했다. 대(對)중국 수출 품목에서는 기계류, 잡화, 섬유류, 수입 품목에서는 전기기기, 플라스틱, 섬유류가 주종을 이루었다. 대(對)베트남 수출에서는 플라스틱, 대(對)말레이시
포스코플로우가 EU 해운 친환경 규제와 IMO(국제해사기구) 규제에 대한 전망과 DRI(직접환원철) 화물의 수송 세미나를 선사와 함께 포스코센터에서 개최했다. 직접환원철(DRI)은 철광석을 고체상태에서 천연가스(CO,H)를 이용해 성질을 변하게 하는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분말 상태의 철원을 말한다. 국제해사기구보다 앞서 EU는 해운업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이미 규제를 확정했고 올해 1월부로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인 EU ETS를 해운업에 적용하기 시작, 내년 1월부터 Fuel EU Maritime으로 명명된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세금 부과를 확정하는 등 규제가 강화됐다. 먼저, 철강 원료에 대한 수입 물류비, 철강 제품에 대한 수출 물류비가 급등할 것을 우려해 환경규제 대응에 있어 선제적으로 대응해온 선사 HMM의 한상태 책임매니저가 지난 18일 포스코플로우 원료물류 관계자들과 'EU 해운 규제 동향 및 IMO 규제 전망'을 주제로 발제를 진행했다. 이날 한상태 매니저는 "IMO 해운 환경규제 강화 중 황산화물 규제, CII, 2050 NET Zero까지 점차 규제가 강화 되고 있으며 이는 곧 화주사 입장에서 수송비 인상으로 이어지게 된다"면서 "그 사례로 E
중국 소유 유조선이 홍해에서 예멘 후티 반군이 발사한 탄도 미사일에 피격당했다. 24일(현지시간) 해운업계와 미군에 따르면 후티 반군은 23일 홍해를 항해하던 파나마 선적의 11만 5,500dwt급 중국 소유·운영 유조선 'MV 황푸호'(2009년 건조)에 대함 탄도미사일을 5차례 발사했다. 중동을 관리하는 미군 중부사령부는 이날 엑스(옛 트위터)에 올린 홍해 업데이트 게시물에서 황푸호가 전날 오전 4차례, 오후 1차례 후티 반군의 미사일 공격을 받았다고 전했다. 미 중부사령부에 따르면 황푸호는 후티가 쏜 다섯 번째 미사일에 피격당해 조난신호를 냈지만, 지원을 요청하지는 않았다. 중부사령부와 영국 해군 해사무역기구(UKMTO)는 해당 선박에서 화재가 발생했으며 불은 30분 이내 진화됐다고 밝혔다. 중부사령부는 "사상자는 보고되지 않았으며 이 배는 운항을 재개했다"면서 "후티 반군은 앞서 중국과 러시아 선박은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고 지적했다. 홍해에서 아덴만으로 향하던 이 선박은 다음 기항지인 인도의 뉴 망갈로르 항구로 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영국 해상보안업체 암브레이는 황푸호의 등록 정보가 지난 2월 변경됐다고 지적하며 후티가
카타르에너지(QatarEnergy)가 야심차게 추진하는 LNG 신조선 프로젝트 2단계에서 국적선사는 한 곳도 발주선주사로 거론되지 않고 있다. 1단계 발주에서는 에이치라인해운과 팬오션, SK해운으로 구성된 'K3'가 대우조선해양 슬롯 11개, 삼성중공업 슬롯 6개를 각각 차지하며 '선전'한 것과 대비된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62척 이상의 LNG운반선을 신조하게 될 카타르에너지의 2단계 사업 발주선주사로 카타르선사인 나킬랏(Nakilat)을 비롯, 중국과 일본, 그리고 말레이시아 선사가 정해졌다. 나킬랏은 가장 많은 35척의 LNG선을 발주하게 된다. 나킬랏은 HD현대중공업의 17개 선석슬롯 전부를 차지했으며, 또한 한화오션이 예약한 슬롯 12개 중 8개를 가져가는 것으로 정리됐다. 한화오션의 남은 4개 슬롯은 일본 K-라인이 이끄는 그룹에 할당된다. 카타르에너지가 2단계 사업을 위해 15개의 슬롯을 예약한 삼성중공업에서는 중국 산둥해운(Shandong Shipping)과 CMES(China Merchants Energy Shipping)에 각각 6개, 말레이시아 MISC에 3개 슬롯이 넘어간다. 카타르에너지는 중국 후동중화조선(Hudong Zhonghua S
일본 화물용 승강기 1위업체 모리야(MORIYA)가 국내 선박용 엘리베이터 시장에 진입했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최근 모리야수송기공(守谷輸送機工)에 선박용 엘리베이터 32대(16척×2대)를 발주했다. 주문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모리야의 선박용 엘리베이터는 삼성중공업이 수주한 대만 에버그린(Evergreen)의 컨테이너선 16척에 설치된다. 엘리베이터는 오는 2025년 11월부터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7월 에버그린으로부터 1만 6000TEU급 메탄올추진 컨테이너선 16척을 수주했다. 에버그린이 발주한 24척을 일본 니혼조선소(Nihon Shipyard)와 나눠 수주한 것이다. 모리야의 엘리베이터는 △진동(롤링·피칭) △다양한 선급·선적에 대응이 가능하다. 모리야는 이전까지 일본과 중국 조선소에 선박용 엘리베이터를 판매해왔다. 지난 2022년 9월 한국 선박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특허(제10-2434121호)를 취득, 국내 선박건조 공정에서 모리야 엘리베이터 설치가 가능해졌다. 모리야는 1949년 창립 이후 75여년간 크레인 및 엘리베이터를 제조, 판매해왔다. 세계 선박용 엘리베이터 시장의 최대 메이커로는 독일 루츠(Lutz)
글로벌 해상운송 항로의 운임 수준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예멘 후티 반군의 홍해 선박공격의 여파로 급등했다. 업계에 따르면 이번주 SCFI는 전주 대비 161.47포인트(p), 14.8% 오른 1254.99p로 집계됐다. 이번 운임상승은 중동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의 영향을 받는 유럽·지중해·중동이 이끌었다. 지중해 노선은 TEU당 485달러(30.9%) 오른 2054달러, 유럽 노선은 468달러(45.5%) 급등한 1497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중동 노선은 1477달러로 지난주보다 302달러(25.7%) 올랐다. 이에 SCFI도 1229.90p를 기록했던 지난해 11월 25일 이후 약 13개월 만에 1200선을 넘기게 됐다. SCFI는 4주 연속 상승세다. 한편 미주 동안은 FEU당 177달러 오른 2982달러, 서안은 36달러 상승한 1855달러를 기록했다. 호주·뉴질랜드는 TEU당 7달러 올라 923달러, 남미는 11달러 상승해 2340달러다. 해양통신 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