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파나마 운하 회수 발언의 '불똥'이 GTO인 허치슨포트에 튀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연설에서 파나마 운하 회수를 주장한 데 대해 파나마의 물리노(Mulino) 대통령은 이를 곧바로 거부했다.
물리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연설에서 파나마와 운하에 대해 한 발언을 전적으로 거부한다"며 "운하는 파나마의 것이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며, 영구중립을 지키기 위해 파나마의 통제 하에 행정부가 유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파나마 행정부에 간섭하는 나라는 세상에 있을 수 없다. 운하는 누구에게 양보할 문제가 아니다"고 덧붙였다.
해운항만업계는 트럼프가 "중국이 파나마 운하와 그 주변 지역을 통제한다"고 지적한 것에 대해 홍콩 허치슨포트의 자회사인 파나마포트컴퍼니(PPC)를 주된 타깃으로 들고 있다.
PPC는 태평양의 발보아항과 파나마 운하의 대서양쪽 크리스토발항을 관리하고 있으며, PPC에 대한 25년 임대는 지난 2021년 6월에 갱신된 바 있다.
부산항에서도 터미널을 운영하는 허치슨 포트는 홍콩증시 상장기업인 CK 허치슨홀딩스의 자회사이며, 중국정부가 직접 소유하거나 통제하는 법인은 아니다.
하지만 업계의 반응과 관계없이 파나마정부는 21일 PPC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파나마 감사원은 소셜미디어플랫폼 X에 "감사원들이 PPC에 도착해 공적 자원의 효율적이고 투명한 사용을 위한 포괄적인 감사를 시작했다"고 게시했다.
파나마 정부의 이같은 움직임은 데이터를 갖고 미국에 반박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연설에서 "파나마가 운하를 이용하는 미국 선박에 과다한 요금을 부과했다"면서 "미국 선박은 어떤 방식이나 형태로든 공정하게 대우받지 못하고 있다"고 비난한 바 있다.
파나마 운하 건설은 당초 1881년 프랑스가 시작했으며, 1904년 미국이 이를 넘겨받아 1914년 개통했다. 1977년 지미 카터 당시 미 대통령이 운하 인계를 위한 조약에 서명할 때까지 미국의 통제 아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