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NG는 지난해 "화석 연료업계의 사기꾼"이라는 비난까지 받았지만 올해 다시 각광을 받으며 컴백했다.
알파라이너(Alphaliner)에 따르면 올들어 지금까지 264척의 컨테이너선(311만 TEU)이 발주됐으며, 이 중 LNG추진선이 전체의 55%를 차지했다.
올들어 지금까지 LNG 추진 컨테이너선 발주량은 176만 TEU로 역대 최대 규모다. 지난해의 연간 발주량보다 44만 TEU 늘어난 것이다. 2022년 발주량 116만 TEU에 비하면 차이는 더 커진다.
반면 지난해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던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발주는 65만 TEU로 전체의 21%를 차지하는 데 그쳤다.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발주량은 2023년 92만 TEU, 2022년에는 55만 TEU였다.
이같은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발주량은 벙커C유를 사용하는 재래식 컨테이너선 발주량(70만 TEU)보다도 적은 것이다.
특히 대형 컨테이너선의 경우 LNG 추진시스템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올들어 1만 4,000TEU급 이상의 선박에 메탄올 추진 방식으로 발주된 경우는 한건도 없었다.
머스크는 지난해 메탄올 선박을 선도하겠다고 큰소리를 쳤지만 지난달 LNG 추진 1만 6,800TEU급 컨테이너선 10척을 발주했다. 머스크의 LNG추진 컨테이너선 발주는 이달 들어서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메탄올의 '퇴조'는 향후 수년 내 친환경 메탄올 공급이 부족해질 것이라는 우려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머스크의 CCO인 카스텐 킬달은 지난주 열린 선박 명명식에서 "녹색 메탄올 공급이 기대했던 만큼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