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중공업의 박승용 최고운영책임자(COO)가 최근 트레이드윈즈와 인터뷰를 갖고 "기존 가격방침을 포기할 지 고심 중"이라는 속내를 밝혔다. HD현대중공업은 HD한국조선해양(KSOE)의 자회사다. 박 COO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비용 절감과 인력 공급을 위해 해외 조선소를 타깃으로 삼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연말을 석 달여 앞둔 현재 올해 연간 수주 목표인 157억 4000만 달러를 이미 달성했다. 올해 글로벌 수주량의 1/3은 LNG선 신조에서 나왔으며, HD한국조선해양은 계약체결된 LNG선 42척 중 22척을 수주했다. 클락슨(Clarksons’ Shipping Intelligence Network)에 따르면 나머지 20척의 LNG선은 한국과 중국의 다른 6개 조선소가 가져갔다. 박 COO는 현대중공업이 선박 수주와 인도라는 측면에서 '편하다'면서 LNG운반선과 LPG선 계약에서 세계 조선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제 한국조선해양은 비용과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 LNG선 건조가격 인상을 모색할 수 있는 위치에 다다랐다. 현대중공업이 수주한 일부 LNG선의 경우 인도가 2027년, 2028년까지 늘어났다. 하지만 유조선, 컨테이너선
프랑스 CMA CGM이 메탄올 추진 대형 컨테이너선을 또 발주했다. 중국 상하이와이가오차오조선(上海外高橋造船. SWS)은 최근 유럽 컨테이너 정기선사와 9200TEU급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8척을 2026년부터 2027년까지 인도하는 조건으로 건조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발주선사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S&P전문가들은 CMA CGM이 발주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신조선가는 약 10억 달러로 알려졌다. CMA CGM은 이번 발주가 4번째 메탄올 추진선 신조 발주다. CMA CGM은 지난해 8월 중국 DSIC(Dalian Shipbuilding Industry Corp)에 1만 5000TEU급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6척을 2025년말까지 인도받는 조건으로 10억 5000만 달러에 첫 발주했다. 이어 올해 2월에 현대삼호중공업에 1만 3000TEU급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12척을 총 20억 6000만 달러에 발주했고, 3월에는 중국 장난(江南)조선소에 1만 5000TEU급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6척을 10억 5000만 달러에 발주했다. 이번에 CMA CGM이 9200TEU급 8척을 추가 발주함에 따라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신조 발주량이 총 32척으로
중국 자오샹쥐그룹(招商局集団, China Merchants Group)이 세계 최초로 메탄올 추진 초대형유조선(VLCC)을 발주했다. 자오샹쥐그룹의 해운자회사인 CMES(China Merchants Energy Shipping)에 따르면 CMES는 지난 15일 중국 DSIC(Dalian Shipbuilding Industry)와 30만 6000DWT급 VLCC 1척을 1억 750만 달러에 2026년 4월 인도받는 조건으로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CMES는 지난달 29일 개최된 이사회에서 메탄올 추진 VLCC 신조 계획을 승인받은 데 이어 이번에 DSIC와 정식 건조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세계 최초로 메탄올 추진 VLCC를 확보하게 됐다. 이번에 CMES가 DSIC에 발주한 VLCC는 세계 최초로 메탄올 이중연료 엔진이 장착되는 메탄올 추진선으로 국제해사기구(IMO) Tier III와 EEDI III 배출 기준을 충족하는 친환경 고효율 선박이다. CMES가 메탄올 추진 VLCC 신조를 추진하고 있는 것은 노후화된 VLCC 선대를 친환경 선대로 개선하기 위한 조치로 현재 CMES는 52척의 VLCC 선대를 보유하고 있다. CMES는 최근 선박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삼성중공업이 팬오션과 선박운항 효율의 극대화를 위한 디지털 플랫폼 공동연구를 위해 '포괄적 디지털 솔루션 개발 협력' MOU를 체결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삼성중공업은 자체 개발한 '디지털 트윈 기반 선박 관리' 플랫폼을 2024년 1월 팬오션의 17만 4000㎥ LNG운반선 '뉴아펙스(NEW APEX)호'에 탑재해 실증을 할 계획이다. 지능형 AI 기술을 활용한 선박 관리 플랫폼은 선박의 운항 정보를 실시간 분석하여 선박 내 모든 시스템의 성능과 장비를 통합 관리하고 최적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해, 선박의 운영비용(OPEX)절감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두 회사는 플랫폼 실증 이후 자율운항 디지털 솔루션 확대 적용을 위한 협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정진택 삼성중공업 사장은 "삼성중공업은 자율운항 핵심기술인 디지털 트윈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번 협력을 통해 자율운항 기술을 더욱 고도화 해 글로벌 시장을 리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안중호 팬오션 대표는 "해운분야는 차세대 통신망 구축, 환경규제 대응 및 에너지 절감 필요성 증대로 디지털리제이션(Digitalization) 관점에서 가장 큰 변화가 일어나게 될 분야 중 하나임이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