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선 시황분석업체인 라이너리티카(Linerlytica)는 태평양 항로의 선복 증가로 향후 컨테이너 운임의 상승세가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라이너리티카는 6월 1일부터 아시아~미국 서안의 운임이 FEU당 6,000달러, 아시아-미국 동안 운임은 FEU당 7,000달러로 인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제네타(Xeneta)의 수석 애널리스트인 피터 샌드는 "선사들이 중국-미국 간 항로로 선복을 전환 배치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스팟운임은 6월 초에 정점을 찍고 6월 말에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샌드는 "선사들이 6월 1일부터 중국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화물에 대해 스팟운임 대폭 인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선주들에 선박 슬롯을 보장하는 대신 운임이 아주 비싼 '다이아몬드 티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해운동맹 '제미니'는 다음달 부산과 미국 롱비치를 연결하는 TP9/WC6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 서비스는 제미니가 동아시아와 미 서안에서 운영하는 6번째 루프가 된다. 첫 출항은 6월 24일 중국 샤먼에서 출항하는 4,622TEU급 'Rhone Maersk호'(2012년 건조)가 맡으며, 머스크는 이 서비스에 3,000~4,000TEU급
'불가사리' 소리를 듣는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사 MSC가 이달에만 10척 이상의 파나막스 및 포스트파나막스급 컨테이너선들을 사들였다. 선박중개업체인 MB쉽브로커스에 따르면 MSC는 4,249TEU급 파나막스 컨테이너선인 'Navios Tempo호'를 3,850만 달러에 나비오스 마리타임(Navios Maritime Partners)으로부터 매입했다. 또 베슬스밸류(VesselsValue)에 의하면 MSC는 삼성중공업이 2002년 건조한 4,100TEU급 파나막스급 자매선 7척을 SFL코퍼레이션으로부터 사들였다. MSC는 또 2003년 일본 IHI가 건조한 6,492TEU급 포스트 파나막스 'MSC Aquarius호'와 'Athens Glory호'를 CSL(Cyprus Sea Lines)로부터 척당 4,400만 달러에 인수했다. 이들은 모두 스크러버 장착 선박이다. 이밖에 2000년 독일 크베르너 바르노프조선소(Kvaerner Warnow Werft)에서 건조된 5,936TEU급 포스트파나막스 'Dimitris Y호'도 인수했다. 선령 25년의 이 빈티지 선박의 인수가는 3,600만 달러였다. 업계 관계자는 "MSC가 선령에 관계없이 공격적으로 컨테이너선을 매
중국 근해선사 CUL이 태평양 항로 운임 급등에 대응해 발빠르게 선박을 투입한다. 싱가포르의 정기선 시황분석업체인 라이너리티카(Linerlytica)에 따르면 CUL은 다음달 7일부터 셰코우, 닝보, 칭다오, 롱비치, 셰코우를 기항하는 태평양 횡단 서해안1(TP1) 서비스를 시작한다. CUL은 2,400~2,800TEU급 컨테이너선을 최대 6척까지 투입할 예정이다. 앞서 코로나19 팬데믹 호황기에 태평양 항로에 진출했다가 이후 철수한 뒤 다시 재진입하는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이달 초 중국과의 관세 전쟁에서 한발 물러나 90일 동안 관세를 115% 인하키로 하면서 태평양 노선 화물이 급증, 운임이 폭등했다. 태평양 횡단 노선의 선복은 향후 4주 동안 급격하게 회복될 전망이다. 라이너리티카는 아시아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난주 56만 TEU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19주차의 37만 7000TEU보다 크게 늘어난 것이다.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제30회 바다의 날(5월 31일)을 맞아 5월 30일(금)부터 31일(토)까지 이틀간 부산광역시(시장 박형준), 부산지방해양수산청(청장 김혜정)과 함께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야외주차장과 북항 친수공원, 영도 국립해양박물관 일원에서 ‘제18회 부산항축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 축제는 문화체육관광부 ‘마이케이 페스타(MyK FESTA)’와 연계한 케이팝(K-POP) 콘서트 등 한류 문화 콘텐츠를 신규로 추가하여 예년에 비해 규모가 확대된 축제를 선보일 예정이다. 마이케이 페스타(6.19.∼6.22, 서울)는 한류 아티스트와 브랜드, 전문가들이 한데 모이는 대규모 K-컬쳐 축제다. 축제 첫째 날인 5월 30일(금) 오전 10시부터 국제여객터미널 야외주차장 일원에서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이 케이팝에 적용된 최신 기술을 선보이는 ‘케이팝(K-POP) 박람회’가 열리며, 오전 11시 30분부터 윈덤그랜드 부산 호텔에서 국내외 케이팝 유관 산업 관계자를 초청하여, 인공지능(AI)과 음악 산업의 미래 전망에 대해 토론하는 ‘케이팝(K-POP) 콘퍼런스’가 진행될 예정이다. 같은 날 저녁, 18시 40분부터 국제여객터미널 야외주차장
CMA CGM이 베트남 북부 신규 컨테이너터미널 건설에 6억 달러를 투자키로 계약을 체결했다. CMA CGM은 베트남 북부 하이퐁의 락후옌 신항만에 투자키로 했다면서 이 지역의 강력한 산업 및 물류 성장을 뒷받침하는 '전략적 투자'라고 밝혔다. 락후옌 터미널은 190만 TEU 규모이며, 2028년 개장 예정이다. CMA CGM은 "이 프로젝트는 동남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특구 중 하나인 베트남 북부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급증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CMA CGM은 1989년부터 베트남에서 사업을 시작했으며, 호치민, 하노이, 하이퐁, 다낭, 꾸이년 등 5개 도시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베트남 법인 직원 수는 550명을 웃돈다. CMA CGM은 이미 까이멥의 제마링크(Gemalink)터미널과 호치민의 베트남국제컨테이너터미널의 공동 소유주이며, 이번 투자를 통해 베트남 항만물류에서 가장 영향력이 강한 선사로 부상하게 됐다. CMA CGM은 전 세계 62개 터미널에 지분을 갖고 있으며, 650척 이상의 선박을 운영하고 있다.
HMM(대표 최원혁)은 6월부터 북중국~인도네시아 구간에서 신규 컨테이너 서비스를 개설한다고 26일 밝혔다. HMM은 인도네시아를 연결하는 기존 ICN(Intra-Asia Cross Network) 서비스 외에 이번에 NIS(North-China Indonesia Service) 서비스 추가 개설함으로써 인도네시아 노선경쟁력을 강화하고, 북미, 유럽 등 원양 항로와 연계해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싱가포르 선사 PIL, X-PRESS FEEDER와 공동 운항하는 이번 서비스는 6월 19일 중국 천진에서 첫 출항한다. 4~5,000TEU급 컨테이너선 5척을 투입하며, 왕복 총 35일이 소요된다. 기항지는 톈진(중국) - 칭다오 - 샤먼 - 싱가포르 - 자카르타(인도네시아) - 수라바야 - 싱가포르 - 톈진 순이다. HMM 관계자는 “기존 원양 항로 중심의 서비스 외에도 아프리카, 중동, 지중해 등에 신규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독일 선주사 베가 리더라이(Vega Reederei)가 소형 벌크선 겸용 컨테이너선 운영 프로젝트를 밝혔다. 베가 리더라이는 지난 21일 중국 난퉁야화조선소에서 자매선 10척 중 1호선인 3,800dwt급 '베가 페트라(Vega Petra)호'를 인도받은 뒤 이같은 겸용 선박에 대해 설명했다. 베가 리더라이는 향후 9개월 동안 나머지 겸용선 9척을 모두 인도받을 예정이다. 베가 리더라이의 대표이사 아렌드 브뤼게는 "이같은 선박은 상업적으로 실행가능하고 미래에도 사용가능한 플랫폼"이라면서 "노후화된 자사의 근해 선대를 새롭게 꾸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유럽의 컨테이너 무역을 보면 절반의 화물이 잘못된 배에 실린다"며 "컨테이너 선사들이 여전히 구식을 고수하고 있는데 사고방식을 조금 바꿔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선박들은 컨테이너 부속품이 장착된 미니 벌크선이 될 수도 있고, 컨테이너를 운반하기 위한 오픈 해치의 벌크선이 될 수도 있다. 좀더 정확하게는 미니 벌크선 설계를 기반으로 한 컨테이너운반선 버전이며, 유럽 항만 간 직항 서비스를 통해 250TEU 규모의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다. 연료소모를 줄이기 위해 디젤-전기 추진방식
화학물질을 선적한 MSC 컨테이너선이 인도양 해안에서 침몰, 환경 모니터링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승무원 24명은 전원 구조됐다. 인도 해안경비대에 따르면 라이베리아 선적 컨테이너선 'MSC ELSA 3호'는 인도 코치 해안에서 약 38해리 떨어진 해상에서 선체가 심하게 기울어지면서 결국 침몰했다. 사고는 지난 23일 비진잠항을 출항한 MSC ELSA 3호가 코치항으로 향하던 중 선체가 26도 기울어졌다고 보고하면서 시작됐다. 인도 해안경비대의 초기 구조작전으로 선원 21명이 성공적으로 대피했고, 선장, 기관장, 부기관장은 인양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배에 남았다. 이어 25일 새벽 선창 중 하나에 물이 들어오면서 이 배는 결국 전복됐고, 사관 3명은 해군함정 '수자타(Sujata)호'에 의해 안전하게 구조됐다. 사고 당시 MSC ELSA 3호는 640TEU의 컨테이너를 적재하고 있었으며, 이 중 13개에는 위험화물이, 12개에는 탄화칼슘이 적재돼 있었다. 또 선박의 탱크에는 84.44톤의 경유와 367.1톤의 잔류 연료유가 있었다. 인도 해안경비대는 현재 환경 모니터링작업을 진행 중이다. 기름유출 매핑기술을 갖춘 ICG 항공기를 통해 조사한 결과 현재까지 기름
지난 3월에 시작된 유럽 주요 항만의 '혼잡'이 7월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런던의 해운 컨설팅업체 드류리(Drewry)에 따르면 3월 말에서 5월 중순 사이 기간에 독일 브레머하펜(Bremerhaven)에서의 정박지 대기 기간이 77%나 길어졌다. 같은 기간 영국 앤트워프(Antwerp)에서는 37%, 독일 함부르크(Hamburg)에서도 대기 기간이 49% 늘어났다. 네덜란드 로테르담(Rotterdam)과 영국의 펠릭스토우(Felixstowe)도 사정은 비슷하다. 독일 항만들의 혼잡은 라인강의 저수위로 인한 바지선 운항 차질과 항만 노동력 부족이 겹친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다 미국과 중국 간, 미국과 EU 간 관세 갈등으로 인한 해운시장 혼란도 유럽 항만 혼잡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드류리는 "항만 혼잡으로 운송 시간이 늘어나 재고 계획에 차질이 생기고, 화주들은 추가 재고를 보유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고 밝혔다. 독일 하팍로이드(Hapag-Lloyd)의 CEO 롤프 하벤 얀센은 지난주 열린 한 웨비나에서 "유럽 일부 항만에서 최근 개선 조짐이 있긴 하지만 항만을 제대로 통제하려면 6~8주의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HD현대 자회사 ‘아비커스(Avikus)’의 자율운항기술이 처음으로 상업 수출됐다. 싱가포르의 EPS(Eastern Pacific Shipping)는 아비커스가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운항기술을 자사 선박 2척에 설치키로 했다. 한 척은 벌크선, 한척은 수에즈막스급 유조선이다. 이들 선박에는 아비커스의 상선용 솔루션 브랜드 ‘하이나스(HiNAS)’와 HiNAS 클라우드 및 육상 선대 모니터링을 위한 분석 플랫폼이 설치된다. AI 기반 HiNAS는 다양한 항해 장비와 센서에서 제공된 정보를 통합해 항해사 개입없이 선박의 방향과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해 충돌을 방지하고 연료소비를 줄이도록 한다. 또 HiNAS Cloud는 육상팀에 항해 분석 및 의사결정 지원도구를 제공한다. EPS의 기술담당 임원인 사친 사하라왓은 "아비커스와의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전체 선대에서 측정가능한 성과와 지속가능성 개선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비커스 시스템은 신조선과 개조선박을 포함해 지금까지 350척 이상의 선박에 설치됐다. 하지만 아비커스 시스템이 한국 밖에서 상업적으로 적용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한편 EPS와의 이번 계약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