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중국산 선박에 대한 기항수수료 위협에 비(非)중국산 유조선에 프리미엄이 발생했다.
선박중개인들은 최근 거래된 10만 5,400dwt급 유조선 'P 얀부(Yanbu)호'의 경우를 들면서 시장심리에 의해 실제 프리미엄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그리스의 퍼포먼스쉬핑(Performance Shipping)은 최근 일본에서 2011년 건조된 '얀부호'를 베슬스밸류(VesselsValue)의 평가치보다 약 500만 달러 높은 3900만 달러에 매각했다.
이 선박은 계약 직후인 지난 24일 익명의 새 선주에 인도됐다.
업계 관계자는 "스크러버가 설치되지 않은 일본산 얀부호의 매매가가 과도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비중국산 프리미엄이 서서히 반영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Xclusiv쉽브로커스의 애널리스트인 아이리니 디아만타라(Eirini Diamantara)는 일본 사세보조선소에서 건조된 자매선 '카프리콘 선(Capricorn Sun)호'(2007년 건조)와 '레드 선(Red Sun)호'(2008년 건조)의 매매가를 들었다.
그녀는 조디악 마리타임 소유의 이들 11만 5600dwt급 유조선들이 싱가포르의 WYM마린에 총 6100만 달러에 일괄매각됐으며, 이같은 매매가는 비중국산에 대한 시장심리를 반영해 약간 높다고 평가했다.
한편 얼라이드쉽브로킹(Allied Shipbroking)은 이번 주 중고선 매매에서 건화물선과 유조선 부문 모두 비중국산 선박이 시장을 주도했으며, 대부분이 한국과 일본산 선박들이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