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M상선 선박에서 컨테이너가 대거 유실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SM상선은 5일 화주들에게 'SM포틀랜드(Portland)호'(5만 1314dwt급)가 베링해 인근을 운항하던 중 강풍에 배가 기울어지면서 컨테이너 115개가 유실되거나 손상됐다고 통지했다.
이후 SM 포틀랜드호는 속도를 줄여 밴쿠버로 운항 중이다. AIS 신호는 이 선박이 지난 4일 진로를 변경하고, 5일 운항을 재개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대해 SM상선은 "SM 포틀랜드호가 속도를 줄이고 안전을 위해 진로를 변경했다"고 보고했다.
SM 포틀랜드호는 당초 오는 10일 밴쿠버에 도착할 예정이었으나 이 사고로 입항이 지연될 전망이다. SM 포틀랜드호는 밴쿠버항에서 캐나다 교통부와 캐나다 해안경비대의 조사를 받게 된다.
4228TEU급 SM포틀랜드호는 SM상선의 미주노선인 PNS(Pacific Northwest Service) 노선에 투입돼 운항되고 있다. 2009년 건조됐고, 2021년 SM상선에 인수됐다.
한 소식통은 "베링해는 3월께 기상이 아주 불안정하다”며 “현재 컨테이너 81개는 유실되고 19개는 붕괴, 15개는 손상을 입은 것으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SM 포틀랜드호의 컨테이너 유실사고는 곧바로 글로벌 해운업계의 관심을 끌었다.
세계 해운업계가 그간 선박 롤링으로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기울인 노력에 찬물을 끼얹은 사례가 되기 때문이다.
2020년 11월 북태평양에서 'ONE Apsus호'에서 악천후로 1800개가 넘는 컨테이너가 유실되고, 이어 태평양을 운항하던 머스크(Maersk)의 'Maersk Essen호'와 'Maersk Eindhoven호'에서 또다시 컨테이너 유실사고가 터지자 글로벌 해운업계는 롤링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
이에 따라 선사들은 승무원 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승무원에게 위험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경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새 기술들을 전수했다.
이같은 노력에 힘입어 세계해운협의회(World Shipping Council)는 2024년 연례보고서에서 2023년 운송된 2억 5000만 개의 컨테이너 중 221개의 컨테이너만이 바다에 유실됐다면서 해운업계가 롤링에 따른 손실을 줄이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전년인 2022년에는 컨테이너 661개가 유실됐었다.
한편 국제해사기구(IMO)도 지난해 컨테이너 해상유실 보고 규칙을 강화했다. IMO 해상안전위원회에서 채택한 '해상 유실 컨테이너에 대한 새로운 의무보고'는 항해 안전과 환경보호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2026년 1월 1일 발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