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지방해양경찰청·부산지방해양수산청·부산항만공사(사장 송상근) 등 3개 기관이 공동으로 부산항의 항만 안전과 해양환경 개선을 위해 노후되어 장기 방치된 유조선 3척을 폐선조치 했다고 8일 밝혔다. 현재 부산항에는 100여척의 소형선박이 미운항 상태로 계류하고 있으며, 일부는 선주가 관리하지 않는 노후 선박이 장기간 방치되어 항내 안전위협 및 해양오염 위험 우려 등 많은 문제가 돼왔다. 이들 선박을 관리 강화하기 위해 위 3개 기관은 지난 5월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합동실태조사와 안전컨설팅 결과 부산항 내 고위험 선박 12척이 확인됐다. 이중 단일선체로 장기간 방치된 노후 유조선 3척은 선체 내부에 약 235톤의 잔존유(경유)가 적재되어 있어 침몰·침수시 대규모 해양오염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컸다. 이에 선박 내 잔존유를 모두 제거하고 소유권 및 채권·채무 문제를 조정하여 폐선 절차를 신속히 진행했다. 이를 통해 항만 내 안전사고와 환경오염 위험을 선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었다. 잔여 9척은 추후 연내 수리 또는 매각을 관계자들과와 협의해서 처리할 계획이다. 남해해경청 이종남 해양오염방제과장은 ‘장기방치된 선박안에 적재된 폐유는 항만 안전을 위협하고
								' 울산항만공사(UPA, 사장 변재영)는 최근 해양수산부의 항만기본계획 변경 고시에서 울산본항의 내해부두가 철재 전용부두로 지정됐다고 7일 밝혔다. 내해부두는 그동안 수출이 불가한 물양장으로 지정되어 있었지만, 이번 철재부두 지정으로 울산항은 해상풍력 기자재 물류 거점으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물양장은 부선 등이 계류하는 접안시설로 바로 수출이 불가능하다. 이번에 반영된 철재부두는 2000DWT급 1개 선석으로 GS엔텍이 제작하는 고정식 해상풍력 발전용 모노파일의 수출을 지원하는 전용부두로 사용 된다. GS엔텍이 약 3,000억 원을 투자해 울산항을 통한 해상풍력 기자재 글로벌 공급망 구축에 나서고 있는 만큼, 울산항만공사는 항만 기반시설과 행정 지원을 통해 기업의 투자가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할 방침이다. 울산항의 새로운 성장 동력과 GS엔텍의 과감한 투자 및 글로벌 공급망 전략이 맞물리면서 울산항은 지역산업 활성화와 국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이라는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항은 현재 LNG·암모니아·메탄올 등 동남권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망 구축까지 계획하고 있어, 친환경에너지와 신재생 산업을 동시에 아우르는
								네덜란드 국적의 상선 ‘템즈보르그(Thamesborg)호’가 중국 롄윈강항을 출항해 캐나다 바이코모로 향하던 중 7일 캐나다 북극의 프랭클린 해협(Franklin Strait)에서 좌초됐다. 해당 해역은 북서항로(NWP)의 중간 지점으로, 북극을 통과하는 주요 포인트 중 하나다. 이 선박을 운영하는 선사 바겐보르그(Wagenborg)는 승무원 부상이나 해양 오염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캐나다 해안경비대는 쇄빙선 ‘CCGS 윌프리드 로리에호’를 급파해 구조 및 상황 모니터링에 나섰다. 사고 당시 구조선은 약 150해리 떨어진 곳에 있었으며, 9시간 만에 현장에 도착했다. 템즈보르그는 1A 아이스클래스 선박으로, 북극의 여름과 가을 운항에 적합하게 설계됐으며, 북서항로를 통해 중국과 캐나다를 연결하는 항로를 정기적으로 운항해왔다. 이 항로는 기존 파나마 운하 경로보다 약 3,750해리 짧아 운항 시간을 14일 단축하고 탄소 배출량을 40%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단체들은 최근 몇 년 사이 북서항로에서 반복된 좌초 사고는 해당 해역에 대한 조사 부족과 항해 위험성을 드러낸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2018년에는 유람선 '아카데믹 로페(Akadem
								일본에서 북미로 향하는 해상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난 25년간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해운사와 포워더(FW)들은 일본시장에서 화물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본해사신문에 따르면 올들어 현재까지 일본발 북미 동안 항로의 컨테이너 운송량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약 65만 TEU를 기록했다. 월간 기준으로는 지난 3월 이후 이달에 처음으로 6만 TEU를 돌파했다. 하지만 장기적 추세를 보면, 일본발 화물 이동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은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올해 들어 선사들은 특정화주를 위한 계약인 명명계정 계약 체결을 포워드들과 하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한 운송업체 관계자는 “불확실한 시장 상황 속에서 선사들이 직접 BCO(선박권을 가진 화주)와만 거래하려는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일본에서 북미 서안 FAK는 FEU 기준으로 약 2,200~2,300달러 수준이다. 일부 선사는 1,900달러까지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 부품의 경우, 리먼 쇼크 이후 물동량이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2024년 기준 일본발 북미행 자동차 부품 운송
								미국 정부의 비자 정책 강화가 글로벌 선박 운영에 심각한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주요 선박관리업체들은 최근 미국 비자 취득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선원 교체 및 운항 일정에 큰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혼란은 도날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서명한 일련의 행정 명령에서 비롯된 것이다. 무엇보다 기존의 복수 입국 선원 비자 제도가 단수 입국 허가로 변경됐다. 이에 따라 선원들은 미국 항만에 첫 입항한 뒤 본국으로 송환돼야 하며, 새로운 비자를 받을 때까지 교체돼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됐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비자 유효기간을 단축했다. 유효기간이 해상노동협약(MLC)에서 규정한 계약기간보다 짧게 설정돼 선원들의 지속적인 고용 유지가 어려워지고, 계약 안정성 또한 크게 훼손되고 있다. 선박관리업계는 이러한 변화가 선원 비용 급등, 항해 중 교체를 위한 항공편 비용 증가, 선박 일정의 심각한 중단 등 다양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매년 8만 4,000척 이상의 선박이 미국 항만에 입항하는 만큼, 미국의 이번 비자 단속 강화가 글로벌 공급망 전체에 시스템적 문제로 확산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화물
								초저유황연료(VLSFO)에 첨가하는 첨가제 소위 '캣파인(Cat-fine)'이 골칫거리다. 연료검사 전문기업 VPS는 8월 한 달 동안 미국 동안, 싱가포르, 로테르담, 함부르크, 알헤시라스, 모리셔스 포트 루이스 등 주요 항만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수준의 연료가 선박에 공급됐다고 지적했다. 문제의 핵심은 캣파인으로 불리는 정유소 촉매 잔류물이다. 이는 원유 증류과정에서 사용되는 알루미늄 또는 실리콘 산화물로, 연료에 남아 선박엔진 내부로 유입될 경우 피스톤 링, 실린더 라이너, 연료펌프 등에 심각한 마모와 손상을 초래한다. 국제표준 ISO 8217은 캣파인의 최대 허용 농도를 60ppm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VPS는 싱가포르에서 67~156ppm, 뉴욕과 보스턴에서는 기준치의 거의 3배에 달하는 최대 176ppm에 달하는 연료가 공급됐다고 보고했다. 이같은 지적이 제기되면서 선사들은 엔진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 정제 및 검사 절차 강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의 PSA 인터내셔널이 인도 뭄바이 자와할랄네루항(JNPA)에 위치한 PSA 뭄바이터미널의 2단계 확장 프로젝트에 13억 달러를 투자하며 인도 최대 컨테이너터미널로의 도약을 본격화했다. 이번 투자는 싱가포르가 인도에 진행한 최대 규모의 외국인 직접 투자로 평가된다. 확장된 터미널은 총 6개의 선석과 2,000m 길이의 연속 부두를 갖추게 되며, 연간 처리 능력은 기존 대비 두 배인 480만 TEU로 늘어날 전망이다. PSA 인터내셔널의 CEO 옹 킴 퐁(Ong Kim Pong)은 “이번 프로젝트는 인도 터미널에 용량, 연결성, 지속 가능성을 결합해 인도의 무역 야망을 실현하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PSA와 별도로 DP World도 최근 5억 1000만 달러를 투자해 구자라트 지역에 연간 220만 TEU 규모의 새 터미널을 건설하는 사업안을 발표했다. 인도는 최근 몇 년간 팬데믹 이후 빠른 경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인도정부 통계에 따르면 인도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각각 9.7%, 7.6%, 9.2%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2024-2025 회계연도에는 화물 처리량이 전년 대비 4.3% 증가한 8억 1,900만 톤을 기록했으
								포스코그룹의 HMM 인수 추진에 대해 KB증권은 재무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5일 평가했다. 최용현 KB증권 연구원은 포스코그룹의 HMM 인수를 두고 시장에서 기대와 우려가 상존한다고 분석했다. POSCO홀딩스의 올해 6월 말 기준 현금성 자산이 16조 5000억원으로, HMM의 자사주 매입·소각 절차 후 예상되는 KDB산업은행 보유 지분 30%를 인수하는 것은 가능하다는 게 최 연구원의 설명이다. 최 연구원은 다만 ▲포스코홀딩스가 올해 고정 자산 투자(CAPEX) 계획이 8조 80000억 원인 점 ▲주력 사업인 철강과 이차전지 산업이 다운사이클(업황 하강기)을 지나고 있다는 점 ▲포스코이앤씨 사고 관련 현금 유출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포스코그룹의 HMM 인수가 재무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 연구원은 “자본 배분 측면에서 HMM 인수를 가정하면 주주 환원 금액이 줄어들 가능성이 큰데, 투자자들이 HMM 인수를 효율적인 의사 결정으로 받아들여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인수 후 시너지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점도 문제로 꼽았다. 포스코그룹이 국내 해운 물동량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물류 사업 진출을 통한 비용 절감을 원할
								지난 8월 홍해와 바브엘만데브 해협을 통과한 선박이 2024년 1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로이즈리스트(Lioyd's List)에 따르면 올 8월 바브엘만데브 해협을 통과한 선박은 총 1,044척으로, 전월 대비 약 10% 증가했다. 선박 유형별로는 벌크선이 7월 288척에서 8월 352척으로, LPG운반선과 유조선은 같은 기간 12척에서 21회으로 각각 늘었다. 후티 반군의 공격에도 불구하고 일부 선주들은 해당 항로를 계속 이용하고 있으며, 해운업계에서는 이를 '위험의 정상화' 현상으로 풀이하고 있다. 후티 반군은 규정을 준수하는 선박은 안전하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선사들은 대체로 이를 신뢰하지 않고 여전히 희망봉 우회 경로를 선택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후티 반군의 위협 수준은 이스라엘 관련 선박의 경우 여전히 '치명적'이며, 전체 선박에 대한 위협은 '심각' 수준으로 평가된다. 국가별로는 중국과 그리스 선박이 바브엘만데브 통항을 주도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이 HMM 인수 추진을 표면화시켰다. 그룹 차원의 새 먹거리 창출을 위해 3, 4개월 전부터 장인화 회장과 포스크플로우 반돈호 사장이 물밑 움직임을 보여오다 최근 여건이 성숙했다고 보고 이를 표면화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HMM 인수 준비를 위해 삼일PwC, 보스턴컨설팅그룹 등과 계약을 맺고 대규모 자문단을 꾸렸다. 회계법인과 로펌, 컨설팅 업체를 대거 고용해 HMM의 사업성을 검토하고 구체적인 인수 전략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HMM 대주주는 산업은행(36.02%)과 한국해양진흥공사(35.67%)다. HMM의 자사주 공개매수가 이달 중순 마무리되면 산은과 해진공 보유 지분은 각각 30%대 초반으로 떨어진다. 포스코는 산은 보유 지분을 인수해 최대주주에 오르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지분 매각 의사가 크지 않은 해진공과 공동 경영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애초 HMM 몸집이 너무 커져 해진공 지분까지 한꺼번에 사들이는 것은 부담이 작지 않은 상황이기도 하다. HMM의 시가총액은 23조원에 이른다. 산은이 보유한 지분 가치는 약 7조원이다. 포스코홀딩스의 지난 2분기 말 기준 보유 현금 및 현금성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