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컨테이너시장이 서방의 경제 제재와 글로벌 선사의 철수에도 불구하고 회복세를 보이며 주요 항만의 물동량이 증가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상트페테르부르크, 블라디보스톡, 노보로시스크 등 러시아 주요 항만에서 올해 들어 컨테이너 물동량이 늘어났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글로벌 선사의 철수로 인해 컨테이너 무역이 위축됐으나, 중국과 터키, 그리고 자국내 신규 선사들이 직항 서비스를 개시하며 물동량 회복을 견인하고 있다.
MSC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남미 서부 해안을 연결하는 냉동 컨테이너선을 투입해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CMA CGM은 3년 만에 러시아 복귀를 선언하며 오는 17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첫 기항할 예정이다.
중국 북스(Vuxx)쉬핑은 러시아와 남미 동해안을 연결하는 신규 서비스를 개시했고, 중국 AGS쉬핑과 러시아의 오로라라인(Aurora Line)도 각각 로테르담-상트페테르부르크, 중국-상트페테르부르크 노선을 운영 중이다.
오로라라인의 2100TEU급 'Hong Chang Sheng호'는 지난 8월 상트페테르부르크항에서 북극항로를 거쳐 중국으로 컨테이너를 운송하기도 했다.
러시아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2022년 침공 직후 급감했으나, 이후 블라디보스토크와 노보로시스크는 각각 27%, 40%의 물량 증가를 기록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역시 2022년 대비 31%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러시아의 해운·물류 산업이 지정학적 고립 속에서도 적응력을 발휘하며, 지역 선사와 틈새 서비스 중심으로 컨테이너 물동량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