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해사기구(IMO)가 글로벌 기후협정 투표를 1년 연기하면서 친환경 선박에 대한 투자가 심각한 불확실성에 직면했다.
해운업계는 이번 사태가 녹색기술 도입에 대한 신뢰를 저해하고, 이미 투자를 단행한 기업들에게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베스푸치 마리타임(Vespucci Maritime)의 오너인 라스 옌센(Lars Jensen)은 “기후 규칙에 대한 합의가 연기된 것은 해운업계에 매우 우려스러운 신호”라며 “이미 친환경 기술에 투자한 기업들이 가장 큰 피해자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머스크(Maersk)가 꼽힌다. 머스크는 수년간 녹색 전환을 위해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왔으며, 이번 IMO의 결정은 해당 전략에 대한 추진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머스크는 IMO의 기후 협정 투표 연기에 대해 “녹색 전환의 추진력을 상실했다”고 평가하면서 향후 명확한 정책 방향을 촉구했다. 머스크는 “글로벌 규제는 공정한 경쟁을 위한 전제 조건”이라며 “현재는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명확성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IMO의 기후 프레임워크는 해운업계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글로벌 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탄소가격 책정, 연료기준 강화, 기후기금 조성 등이 핵심 내용으로 포함돼 있다.
그러나 회원국들 간의 정치적 갈등과 이해관계 충돌로 인해 어그러지면서 관련 산업 전반에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양상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후 규제의 불확실성은 결국 녹색 선박 발주와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 결정을 어렵게 만든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