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북항 감만부두 내 교통체증을 해소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GPS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프리게이트를 도입하여 성공적으로 운영 중이라고 23일 밝혔다.
디지털 프리게이트(Digital Pre-Gate)는 Geo-fencing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구역을 설정하고, 해당 구역에 화물차량이 진입 시 부산항만공사 올컨e 앱으로 전자인수도증이 자동 발급되도록 하는 디지털 가상 게이트를 의미한다.
Geo-fencing은 공간에 가상의 경계를 설정하고, 사용자가 그 영역에 들어오거나, 나갈 때 알림 및 기능을 실행하는 위치 기반 기술이며, 올컨e 앱은 컨테이너 반출입 업무 지원, 정보조회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화물차 운전기사 전용 모바일앱이다.
북항 감만부두는 최근 외부 철송장 등의 시설이 장치장으로 용도 변경되며, 화물차들이 이를 이용 시 기존 진출입 게이트를 통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부두 내부 및 인근 도로는 화물차량 간 교차 운행으로 인한 혼잡과 사고 위험이 증가하였고, 불필요한 동선이 길어져 이동시간도 많이 소요됐다.
여기다 한국허치슨터미널의 신감만·감만부두 이전 후 화물차량들의 통행량 증가로 더욱 극심한 교통체증이 야기됐다.
이러한 문제 해소를 위해 BPA는 디지털 프리게이트(부두 내 가상의 게이트)를 도입하였으며, 화물차량들은 디지털 프리게이트 진입 즉시 휴대전화로 전자 인수도증을 발급받아 외부 장치장으로 바로 진입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외부 장치장 진입 시 이동거리가 2km에서 1km로 절반 이상 감축됐으며, 사고위험 감소 및 교통 정체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프리게이트 도입은 BPA와 부산항 북항 감만부두 운영사인 신선대감만터미널(BPT, 대표자 이정행)과 협업해 진행했다.
BPA는 최근 심화된 교통체증 문제 개선을 위해 신선대감만터미널에 디지털 프리게이트 도입을 제안하였으며, 양사는 작년 11월부터 개발에 착수하여 올해 6월 현장 적용 후 4개월 만에 83%의 이용률을 달성했다.
22일 BPA는 신선대감만터미널과 공동으로 디지털 프리게이트 활성화를 위한 현장 캠페인을 추진했다. 캠페인에서는 감만부두를 출입하는 화물차 운전자 대상 세부 이용방법 안내 및 모바일 GPS 위치정보 설정 지원 등을 진행했다.
신선대감만터미널 이정행 대표는“BPA의 적극적인 협력으로 디지털 프리게이트가 성공적으로 도입되었고 효율적인 항만 운영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BPA 송상근 사장은“디지털 프리게이트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도입한 스마트 항만 서비스로 단기간 내 높은 이용률을 기록하며 부산항의 디지털 혁신 가능성을 입증했다”며“앞으로도 AI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여 부산항이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스마트 항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의지를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