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콩의 TS라인과 이스라엘 Zim이 태평양 항로에서 이탈하는 선사들에 합류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TS라인은 중국에서 미국 캘리포니아까지 운항하는 AWC2 서비스를 철수시켰다. 이 서비스는 지난해 8월 1,800TEU급 컨테이너선 4척으로 시작됐다.
TS라인이 이 서비스에 마지막으로 투입한 선박은 'TS 도쿄호'(2017년 건조)로, 현재 롱비치항에서 출항해 중국 남부의 셰코우로 귀항 중이다. 이 선박은 다음달 초 아시아 역내 항로에 투입될 예정이다.
또 Zim은 Zim Central China Xpress(ZX2) 서비스를 철수시키기로 결정했다.
라이너리티카(Linerlytica)에 따르면 이 서비스의 마지막 운항은 5,500TEU급 '미시시피호'(2024년 건조)로 지난 10일에 닝보에서 출항해 오는 24일 LA에 마지막으로 기항할 예정이다.
Zim은 작년 7월에 4,500~5,300TEU급 선박 5척을 이용해 이 서비스를 시작했다. 당시 태평양 항로의 운임은 지금보다 거의 4배 높았다. Zim 코리아측은 이 서비스는 한국에는 기항하지 않는 서비스라고 밝혔다.
FBI(Freightos Baltic Index)에 따르면 지난 9개월 동안 중국에서 미국 서안까지의 운임은 지난해 6월 FEU당 8,000달러에서 현재 2,292달러로 떨어졌다.
얼라이언스의 서비스 중단도 잇따르고 있다.
'프리미어 얼라이언스'는 다음 달에 아시아~미 서안 항로에서 운항될 예정이었던 PN4 서비스 출시를 중단했다.
또 단독 얼라이언스격인 MSC는 아시아~미 서안 항로의 다섯번째 서비스인 머스탱 서비스의 출범을 중단했다.
공급망 데이터제공업체 비지온(Vizion)에 따르면 태평양 항로를 통한 중국으로부터 미국으로의 수입물량은 3월 마지막 주에 비해 4월 첫째주에 64% 급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