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해양·수산계 고등학교·대학교 졸업자 10명 중 4명은 해기사를 선택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문대림 의원이 해양수산부가 제출한 ‘국내 해양 관련 학교 졸업생 관련 분야 취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21년 이후 우리나라 17개 해양·수산계 고등학교·대학교 졸업생 5109명 중 해기사 등으로 취업한 수는 63.5%인 3242명이다. 36.5%인 1867명은 다른 길을 선택했다.
특히 17개 해양·수산계 고등학교·대학교 중 한국해양대와 목포해양대, 인천해사고, 부산해사고 등 4개 학교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배출된 졸업생 3507명 중 82.7%인 2900명이 졸업 후 해기사 등으로 취업했지만 나머지 13개 해양·수산계 고등학교·대학교 졸업자 1602명 중 해기사 등으로 취업한 것은 21.3%, 342명에 불과했다.
학교별로는 전국 최대 규모 수산·해운 특성화고인 인천해양과학고 취업률이 7.7%로 가장 낮았다. 이어 ▲강원도립대 9.2% ▲제주 성산고등학교 14.6% ▲전남대 17.6% ▲경상국립대·충남해양과학고 17.9% ▲제주대 19.0% ▲부경대 19.7% ▲포항 한국해양마이스터고 25.6% ▲완도수산고 36.5% 순이다.
이같은 현상에 대해 해수부는 어린 학생들이 승선 및 단체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진로를 변경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기사 고령화가 심화하고 있다.
국내 전체 취업 해기사 1만9675명 중 41.9%인 8247명이 60세 이상으로 조사됐다. 25세 미만 4.1%(815명), 25~29세 11.1%(2192명), 30대 10.9%(2149명), 40대 11.2%(2213명) 등이다.
문 의원은 30∼40대를 대상으로 한 해기사 양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인천해사고 부설 해기교육원 ‘6급 해기사 양성 과정’의 경우 2023년 5월 ‘1기 6급 해기사 양성 과정’을 처음 시작한 후 1년여간 6급 해기사 교육생 총 120명이 선발됐고 이 중 85.0%인 102명이 6급 해기사 자격을 취득했다.
문 의원은 “인천해사고와 같은 교육과정이 제주, 부산 등 다른 지역에도 신설되면 해기사 부족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는 중장년층 재취업 문제 해결도 가능하다다”고 밝혔다.